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된 듯 햇볕도 점점 따가워지고 있다. 그에 따라 전국적으로 해수욕장들은 속속 개장하며 행락객을 맞을 준비가 한창이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자연히 사고가 잇따르기 마련이다. 보통 해수욕장에서의 안전사고라 하면 익사사고를 떠올리기가 쉽지만 익사사고만큼이나 위험한 사고를 대부분의 피서객들이 간과하고 있는 것 같다. 해수욕장 인근 군사지역 침범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해안은 군사작전지역이다. 따라서 해변에 군사시설 및 군부대가 자리하고 있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시민들의 휴양공간인 해수욕장과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군사지역이 인접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고 할 수 있다.
지난 6월 25일에는 왕산·을왕리 해수욕장 인근의 모 군부대에서 해수욕장 개장에 대비한 군·경 및 관련기관 회의가 열렸다. 군에서는 민간인의 군사지역 무단출입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조망 등으로 경계를 표시하고 출입금지 푯말을 설치하지만 일부 시민들이 야간에 식별을 하지 못하거나, 출입금지 지역임을 알면서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무단히 침범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고 한다. 군부대 측에서도 침입자가 거의 대부분 일반시민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침입자가 발견되면 신원을 확인하고 일반시민인 경우 군사지역 밖으로 나갈 것을 종용하고 출입금지 지역임을 재차 확인시키고 있지만, 야간의 경우 무단침입한 시민이 만취하였거나, 근무 중인 군인이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통제에 잘 따르지 않아 애로사항이 많다고 한다.
튼실한 국가안보는 시민들의 협조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군의 출입통제에 시민들이 잘 따라주어야 군인들도 마음놓고 원칙적 근무를 수행할 수가 있다.
근무수칙상 출입이 금지된 군사지역에서는 경계병의 수하에 불응하는 경우 발포까지도 가능하다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 군사지역 침범이 예상치 못한 참혹한 결과를 불러올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