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일자리의 감소폭이 전체 일자리 감소 폭을 웃돈다고 하니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젊은이들이 맞고 있는 셈이다. 일자리를 지닌 젊은 층도 어려워지기는 매한가지다. 대학을 졸업하고 첫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젊은이의 초임 연봉이 대기업에서는 162만원, 중소기업 경우는 90만원이 각각 줄었다고 한다. 청년층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폭이 전체 일자리의 감소폭을 웃도는 것은 두말 할 것 없이 신입 직원을 뽑는 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채용을 기피하기 때문이다. 이런 추세는 올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라는 보도가 있다. 기업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면서 고용 사정이 상반기보다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내년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고민하는 것을 보는 일은 쉽지 않다. 이들이 절망하면 사회가 올바로 서지 않는다. 다행히 하반기에 경기가 회복되기 시작하더라도 젊은 층의 고용 사정이 개선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한다. 기업들은 경기가 제대로 회복되는 시점은 2011년 이후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처럼 젊은 층의 고용 시스템에 이상이 생기면 경제 회복 ·사회 안정 모두에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다.
일자리 대책은 경기 회복과 경제의 성장 있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기다릴 수 없는 일이다. 국민경제 발전의 주역이 될 20-30대가 경제난의 직격탄을 맞는 상황을 사회적으로 방치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정부가 미취업 청년층이 장기간의 미취업으로 노동시장에서 아예 도태되는 일이 없도록 특단의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실업대책 사업을 점검해 실제로 젊은이들의 구직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실업 예산을 엉뚱한 곳에 사용, 직업교육 훈련의 효과가 떨어져 교육을 받고도 취업이 안된다고 불평하는 목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경기가 본격 회복될 때까지 정부가 젊은층의 일자리 문제에 대한 심각성 인식하고 비상 대응하는 자세가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