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인상폭이 무섭다.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채소와 육류 등 농축산물을 비롯한 거의 모든 생활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당연히 식당의 음식값도 인상되고 있다. 이 상황이 불만스럽긴 하지만 식당운영자들이 공짜로 ‘하천 물’을 퍼다가 장사를 하지 않는 한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명박 정부는 지난 13일 이른바 ‘물가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정부가 물가 잡기에 적극 나선 것은 올해 상반기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아니 예상할 필요도 없다. 지금 서민들은 시장가기가 무서울 만큼 상승된 물가 때문에 고통 받고 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정부의 물가와 전쟁을 선포 후 최근 화장지, 린스, 조미료, 케첩 등 생필품 생활필수품 10개 중 6개의 가격이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런 현상은 정부가 담합과 불공정행위 등을 강력히 조사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만 가지고서는 국민들의 불안 심리를 잠재우고 서민 경제 안정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이런 우려를 뒷받침 하듯이 경기도와 서울시, 인천시가 대중교통요금을 인상할 준비를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내버스와 지하철 요금을 올릴 계획이라고 한다. 경기도는 지난 20일 ‘지방공공요금 동결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지만, ‘일부 요금은 인상을 최소화한다’는 문구를 남겨 놓음으로써 서울처럼 대중교통 요금을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버스와 지하철은 서민들이 가장 자주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요금 인상은 신중해야 한다. 우선 정부의 공공요금 인상 자제 방침과 어긋난다. 뿐만 아니라 버스요금 인상은 서민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특히 다른 부문의 물가와 요금을 동반 상승시키는 도화선 역할을 한다. 경기도도 정부처럼 서민물가 안정을 위해 사실상 ‘물가와의 전쟁’을 선포(본보 20일자 1면 보도)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도가 버스요금 인상을 추진한다는 것은 모순이다. 도는 인건비 인상과 유류값 인상 등을 우선적인 상승 요인으로 꼽고 있다. 대중교통의 ‘환승’체계 또한 지난 한 해 약 2천억원 가량의 적자를 불러와 요금 현실화는 불가피 하다는 입장이다. 도민들은 대중교통요금을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동결’하겠다는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