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기고] 구제역 조기 종식을 위한 제언

 

오늘날 우리 농촌의 삶은 참으로 고단하다. 농촌마을에서 어린아이의 울음소리가 사라진 지 오래이며, 몇몇 마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농촌에서는 나이드신 노인과 여성들만이 외롭게 고향을 지키고 있는 실정이다. 농촌에 젊은 사람들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마땅히 젊은 사람들이 맡아 의욕적으로 일해야 할 마을이장, 새마을지도자, 부녀회장 등도 환갑을 훌쩍 넘긴 분들이 맡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설상가상으로 우리농촌은 WTO, DDA, FTA 등 ‘세계화’라는 높은 파도를 타고 물밀 듯이 들어오는 외국농산물과도 힘겨운 경쟁을 하고 있다. 농촌에 사는 주민의 한사람으로서, 또한 도의원으로서 참으로 답답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지난 해 11월말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경기도 전지역을 휩쓸더니 그동안 청정지구로 알려져 있던 강원도는 물론 충청도까지 확산되는 등 전국의 많은 시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까지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지만 혹한의 날씨가 계속되고 있어 추울 때 더욱 기승을 부리는 구제역바이러스의 특성상 계속적인 확산이 우려된다고 하니 정말 큰 걱정이다.

 

 물론 방역당국은 최후의 수단인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을 실시하고 있지만 엄청난 경비가 소요되고 백신마저도 부족한 형편이라 방역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이번 구제역으로 인해 입은 경제적 손실은 이미 천문학적 수준을 넘어섰다. 축산농가는 물론이고 육류를 취급하는 유통·외식업계, 전염예방을 위한 방역차단으로 구제역발생 지역의 상가나 관광업종 등에도 연쇄적인 파급효과가 심각하다고 한다. 구제역으로 인한 상처는 이에 그치지 않고 있다. 전염을 막기 위해 최선책으로 선택할 수 밖에 없다는 가축살처분의 생생한 장면은 우리 국민 모두에게 깊은 마음의 상처를 주고 있다. 1월 25일 현재 경기도에서 살처분하여 매몰처리한 가축이 150여만두로 이는 도내 전체사육 두수 중 소의 경우 12%, 돼지는 66%에 해당되며 전국적으로 보면 253만두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방역수단이 많지 않아 어쩔수 없이 ‘살처분’이라는 방법을 택하고는 있지만 특별한 대책이 없어 이를 바라보는 마음이 영 개운치가 않다. 아무리 동물들이지만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가 싶은 것이다. 어디 이뿐이겠는가? 이번에 동원된 수의사들과 공무원들이 심각한 정신적 후유증으로 인해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안락사라 하지만 한꺼번에 수백마리의 동물들에 약물을 주입해 죽여야 하는 수의사의 마음이 어떠했겠는가? 동물 시체의 배를 일일이 갈라 매몰하고 살아있는 돼지를 생매장해야만 하는 공무원들! 자식처럼 기르던 가축들이 그렇게 죽어가는 것을 봐야 하는 축산농가의 심정은 말이 필요 없을 것이다.

 

또한 국민들은 공중파를 통해 살처분 현장을 보며 안타까워 눈물을 흘렸을 것이고 그런 결정을 내려야만 하는 정부 당국도 개운치 않기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이렇게 구제역으로 인해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에 가해진 마음의 상처가 깊어만 가고 있는데 지금 상황을 볼 때 구제역 종식의 끝이 어디인지 쉽게 짐작할 수 없다는 것이 더욱 우리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더구나 다음 주로 다가온 민족 최대의 명절을 앞두고 귀성객들의 대이동으로 인한 구제역 확산을 우려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백신투여와 방역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가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가 있어야 하겠다. 귀성객들은 축산농가 방문을 가급적 자제하고 축산농가들도 귀성객들의 방문에 각별한 주의와 관심을 갖고 자체방역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대만과 영국 등 외국의 사례들을 통해 볼 때 구제역의 조기 종식을 위해서는 민·관의 총력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아무리 방역을 철저히 하더라도 단 1%의 허점이 있다면 구제역은 언제든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외환 위기와 금융 위기를 국민과 정부가 합심해 슬기롭게 극복했듯이 전국을 강타하고 있는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전염병을 조기에 종식시킬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지자체, 축산농가 그리고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기대해 본다. /천동현 도의회 농림수산위원장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