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생활에세이] 불완전한 인간의 삶

 

인간은 항시 불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생물체의 한 존재이다. 지구상의 어떤 생물체도 완벽하지는 않지만, 만물의 영장으로서 인간의 가치를 스스로 높게 평가해온 우리는 이제 인간이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내재적 모순점들을 하나하나 살펴보아야할 때가 왔다.

우리는 스스로의 모습들 속에서 보완해야할 점을 모색하고, 지속적인 반성을 통해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올바른 길을 찾아야 한다. 인간은 그 본능이 인간의 모든 것을 지배해 모든 상황과 모든 환경에 대한 인간의 행위를 결정짓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동물들은 나면서부터 걷고, 짧은 기간에 성장을 마침으로써 자연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동물들의 경우 거의 완벽한 구조의 몸체를 갖고 고정된 기능성을 갖고 태어나는 것은 더욱 이를 뒷받침해 준다.

그러나 인간은 제2의 천성을 습득해야 하는데, 작은 동작 하나하나까지 주변의 모든 선배나 부모의 도움으로부터 학습해야 하는 미완의 존재이다.

사람이 미완으로 세상에 나와 오랜 성장 기간을 갖는다는 생물학적 특이성은 사람이 객관적인 얼을 이룩하는 사회적인 존재라는 것을 부정할 수도 없다.

이러한 인간의 모습은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것이 우리 삶의 가장 기본적인 규범인 동시에 사회의 국극적인 목표가 되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또 인간의 불완전성은 이와 같은 생물학적 모습에서만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내포하고 있다. 정신적인 면에서 살펴본 인간의 불완전함은 무엇인가. 인간은 동물 중에서 유일하게 사유와 판단을 갖춘 정신체계를 지니고 있다. 바로 이러한 점이 인간 자체를 불완전한 존재가 되게 하는 큰 이유가 된다.

사유와 판단은 인간이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하게 되는 원인으로, 인간의 능력과 자신들에게 돌아올 결과를 잘못 추측하게 되는 불완전함의 주된 이유가 된다.

인간은 이러한 점을 약점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유일무이한 사고와 판단 능력의 존재로 스스로를 과대평가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특히 현대 사회의 이성의 피폐화와 인간의 존엄성, 사상 등은 이러한 인간 스스로의 오만과 과욕이 초래한 악재임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지금의 현실인 FTA문제의 심각성이나 벤츠검사 사건, 종합편성채널 4사의 졸속 개국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불완전한 모습은 약점으로서 인식하고, 이를 보완해야할 방법을 우리 스스로가 지금 찾아야 할 때가 온 것이다.

불완전한 상태와 불완전한 사유와 판단 체계는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 결코 자랑할 만한 것이 못된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불완전한 모습을 스스로 인정하고 이를 위한 우리의 겸손한 자세가 무엇보다도 지금이 매우 중요한 때인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인간의 모습을 우리 스스로의 노력으로 보완해 나아갈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에게 있어서 문제점은 정신적 회복이며 이러한 회복과 함께 쉽게 상처받는 불완전한 정신 체계에서 그와 같은 미완을 극복하는 것은 진정으로 우리 스스로 경제를 발전시킬 중요한 모태가 될 것이다.

/신현석 시인·수필가

▲경의선 문학지로 등단 ▲경기도의회 한나라당 대변인 ▲경민대학교 겸임교수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