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설] 농촌관광 인프라 개선해야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이 최근 7대 특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2011년 도시민 농촌관광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흥미롭다. 발표된 자료를 보면 앞으로 농촌관광 프로그램과 인프라를 어떻게 개선해야 할 것인지 판단된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도시민의 농촌관광 경험률은 13.8%였다고 한다. 즉 도시민 100명 중 14명 정도가 농촌관광을 해봤다는 얘기다. 생각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다. 특히 지난 2004년(7.7%)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조사대상의 70.4%가 ‘앞으로 농촌관광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농촌관광의 미래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뿐만 아니다. 농촌관광 방문객들의 지역 농특산물 구입률도 2003년 20.3%에서 2011년 45.2%로 2배 이상 증가하고 있다는데 지난 1년 동안 농촌관광객들의 거의 절반이 지역 농특산물을 구입했다고 한다. 가뜩이나 고령화, 황폐화돼 가고 있는 농촌이 일부이긴 하지만 이렇게라도 활성화되고 있본지 1월18일자 13면에 사설 ‘1339와 119 통합 재검토 환영한다’가 게재됐습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에 확인한 결과, 1339와 119 통합 결정이 회의를 통해 재검토된 사실이 없다고 밝혀왔기에 이를 바로잡습니다.

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당연히 도시에 사는 농촌관광객들의 농특산물 구입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농산물 직거래를 확대하는 촉매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2003년 79.6%에 달했던 숙박 여행 비율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지난 1년간 숙박 여행(53.6%)이 당일 여행(46.4%)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2003년 79.6%에 달했던 숙박 여행 비율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 부분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2003년 32.6%를 기록했던 농가민박 이용률은 계속해서 줄어들어 지난해 10.3%로 감소한 것이다. 펜션(30.3%)에 비하면 3분의 1밖에 안된다. 농진청 관계자는 “앞으로 농가민박 특성화를 위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도시민들이 선호하는 방문지역도 눈여겨봐야 한다. 경북지역이 24.5%인데 반해 경기지역은 고작 7.7%밖에 안된다. 농진청은 지자체의 관광정책, 홍보 정도에 따라 선호지역이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에 따라 2003∼2004년에는 경기지역, 2006년에는 강원지역, 2009년 이후에는 경북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아울러 농촌관광의 불만사항인 화장실·휴식시설 등 편의시설 부족, 숙박·시설·체험 관련 가격 적절성, 지역주민 서비스와 친절성, 식사와 음료 등의 관광인프라도 개선돼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