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공천작업이 마무리됐지만 경선부정에다 공천취소, 돌려막기 등 온갖 추태와 잡음으로 얼룩졌다.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장담한 공천개혁이나 인적쇄신은 오간 데 없어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도리어 지역유권자를 무시하는 낙하산 땜질 공천에다 선거 때마다 되풀이돼 온 계파공천이나 밀실공천 등 사천(私薦) 논란만 거세다. 특히 여야의 후보자 면면을 보면 새로운 인물이 없다는 혹평이 지배적이다.
새누리당이 231개 지역구 공천을 마무리한 결과 현역의원 ‘물갈이’ 비율은 41.9%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물갈이 내용을 보면 인적쇄신과는 거리가 멀다. 친이(친이명박)계 의원을 정리한 자리에는 어김없이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로 채웠다. 또 물갈이한 곳을 정당인이나 관료 법조 출신들이 차지해 서민과는 거리가 먼 ‘기득권’ 인사를 배치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편향된 역사관, 성 추문 등의 문제점이 노출된 일부 후보자들의 공천을 취소하면서 ‘부실공천’이란 비난도 자초한 셈이 됐다. 여기에 한 지역에서 탈락한 후보자를 다른 지역에 재배치한 ‘돌려막기 공천’도 기승을 부렸다.
민주통합당도 19일 야권 단일후보 경선 결과를 발표하는 것으로 공천을 매듭지었다. 69개 선거구 경선 결과 민주당이 57곳, 통합진보당이 11곳, 진보신당이 1곳에서 승리했다고 한다.
하지만 민주당은 공천잡음이 더 심해 지지율이 추락하는 망신살을 샀다. 비리전력자를 공천했다가 여론의 압박에 취소하는 행태도 마찬가지였고, 상대적으로 적다고는 하지만 돌려막기 공천도 여전했다. 특히 친 노무현 인사들이 대거 공천받는 등 친노계 쏠림이 지나쳐 당내에서조차 ‘공천 실패론’이 제기될 정도였다. 공천권을 유권자에게 돌려주겠다며 실시된 국민경선에서는 조직이 열악한 신인들이 줄줄이 고배를 마셨다. 정치개혁의 상징으로 내세운 ‘모바일 국민경선’이 기득권 세력의 ‘차떼기 동원경선’으로 변질한 결과다.
선거의 절반 이상인 공천 작업이 이처럼 불공정 못난이 경쟁으로 막을 내렸으니 이를 지켜본 국민은 하도 어이없어 허탈하기만 하다. 19대 국회에서도 새 정치를 기대하기 힘들어졌다는 비관적인 얘기마저 나오는 이유다. 이처럼 유권자의 선택권을 무시한 정치권의 오만에 대해서는 오는 4월11일 표로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 최선이 어렵다면 차선, 아니면 차악이라도 선택하는 것으로 민심을 외면한 ‘공천폭거’를 심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