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을 앞두고 또다시 ‘폴리페서’ 논란이 일고 있다. 폴리페서는 선거 때마다 불거져 비판의 대상이 돼왔으나 논란을 막을 장치는 아직껏 미비한 실정이다. 알다시피 폴리페서란 정치를 뜻하는 ‘폴리틱스(politics)’와 교수를 의미하는 ‘프로페서(professor)’의 합성어로 정치권에 진출해 정치적 욕망을 실현하려는 ‘정치참여교수’를 뜻한다. 이번 19대 총선에 출마한 정치참여교수는 모두 20여명으로 새누리당이 11명으로 가장 많고 민주통합당 3명, 통합진보당 2명, 자유선진당과 국민생각 각 1명이라고 한다.
본인이 직접 출마한 건 아니지만 한 교수가 특정정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은 것을 두고도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현직 교수들이 새 학기 시작과 거의 동시에 정치판으로 달려들자 당장 학생들이 반발하고 있다. 한 대학의 학생회는 여당 비례대표 후보로 배정된 교수에게 질의서를 보내 “국회의원에 당선되면 의원과 교수 중 무엇을 택할 것인가. 둘 다 병행한다면 학생들의 수업권은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라며 답변을 요구했다고 한다.
학생들의 수업권 침해 불만은 당연히 나올 수밖에 없다. 물론 교수들도 한 사람의 국민인 이상 정치에 나갈 자격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이 같은 논란을 잠재울 방책은 마련해놓고 나가더라도 나가야 한다는 얘기다. ‘당선되면 국회로 가서 좋고, 안 돼도 학교로 돌아가면 그만’이라는 자세는 너무나 안일하고 무책임하다. ‘철밥통’이라는 비아냥이 말해주듯이 한국사회에서 교수는 마치 무사안일한 예외주의의 대상인 것처럼 인식돼 왔다.
폴리페서 논란은 이런 현실과 무관치 않다. 양손에 떡을 든 채 그로 인해 피해를 입는 학생들에게 오불관언인 것처럼 행세한다면 이는 심각한 도덕적 해이다. 다시 말하건대 교수도 정치에 나설 자유가 있다. 다만 사직을 하든, 휴직을 하든 학생들에게 안전장치를 마련해놓고 떳떳하게 나서라는 것이다. 자신의 이익과 명예만을 위해 정치와 교단을 오간다면 이는 또다른 의미의 ‘회전문 인사’나 진배없다.
이런 현상은 폴리페서들에 대한 이렇다 할 법과 제한규정이 없어 빚어진 것이다. 서울대의 경우 한때 논란을 거듭하다가 폴리페서를 사실상 묵인하고 양성화하는 방향으로 튼 가운데 교수의 공직 진출에 아무런 제한규정이 없다고 한다. 의원에 당선되면 교수직을 버리거나 선거기간 중 휴직을 의무화한 법안 역시 18대 국회에 제출됐지만 수년째 낮잠만 자고 있는 상태다. 폴리페서들의 각성과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