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전통시장, SSM을 이기려면

SSM은 대기업이 운영하는 기업형 슈퍼마켓이다. SSM은 전통시장과 골목상점 상인들의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SSM이 들어서는 지역은 항상 상인들의 집단반발이 일어났다. 사실 골목상권이나 전통시장 인근에 SSM이 들어서면 영세한 전통시장 상인이나 골목 상인들이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이에 따라 정치권은 지난 1월 지방자치단체장이 대형마트의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의무 휴업을 명할 수 있도록 유통산업발전법을 개정했다. 이 개정된 유통산업발전법을 근거로 수원시와 부천시 등 지자체가 대형마트의 휴업을 강제할 수 있는 조례를 제정, 시행하고 있다. 안산, 파주, 군포 등도 시행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왜 이렇게까지 규제를 하는가 하면 대기업은 탄탄한 유통망, 자본, 운영노하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재래시장보다 더 좋은 장소에 자리를 잡을 수 있으며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쉽게 얘기하자면 SSM이나 대형마트와 영세한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은 동등선상에서 경쟁이 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가 전통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대형마트의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의무 휴업을 명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것은 이해가 간다. 또 규제를 하지 않으면 머지않아 대기업이 시장을 독점할 수 있다. 시장 독점 후 가격을 높이게 된다면 이로 인한 피해는 온전히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것이다.

물론 반대 의견도 있다. 정부의 과도한 시장개입은 경제의 비효율성을 발생시킨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소비자가 재래시장보다 SSM를 선호하는 이유를 들어보자. 편리한 접근성, 다양한 제품, 저렴한 가격, 청결한 환경 등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도 필요하지만 전통시장 상인 스스로의 마인드와 시장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경기도내 30여개 전통시장이 SSM에 맞서 합동으로 할인판매를 실시한다는 소식은 그래서 의미가 있다.

이번 주 일요일인 22일부터 매월 넷째 주 일요일 수원 영동시장 등 도내 10개시 30여개 시장이 동시에 ‘전통시장 큰 장날’ 행사를 가질 예정이라는 것이다. 수원시와 부천시는 대형마트와 SSM이 모두 쉬는 이번 주 일요일 큰 장날 행사부터 적극 홍보에 나설 방침이라고 한다. 이번 행사는 최근 대형마트와 SSM(기업형 슈퍼마켓)이 매월 두 번 휴무를 해야 하는 의무휴업제 실시에 따른 것이다. 침체돼 위기에 빠진 전통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좋은 결과가 있길 기대하며 더 많은 시장들이 함께 했으면 좋겠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