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韓 재래가축 24종 FAO 족보 올라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재래가축 24품종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우리 이름으로 추가 등재됐다고 30일 밝혔다.

FAO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새로 이름이 올라간 품종은 칡소, 축진참돈, 축진듀록, 긴꼬리닭, 현인흑계, 횡성약닭, 황봉, 진돗개, 동경이 등 5축종 24품종이다.

FAO는 동물유전자원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1996년부터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204개 국가 또는 지역의 가축 유전자원 1만4천여 품종이 올라 있다.

우리나라는 2004년 등재하기 시작해 이번까지 포함하면 모두 13축종 77품종을 관리대상에 올리게 됐다.

이번에 등재된 칡소는 전국에서 1천600여 두가 사육되는 멸종 위기종이다.

털은 황갈색, 검은색, 흑갈색 등의 얼룩무늬가 있다. 특히 호피무늬를 보여 ‘호반우’라고도 불린다. 축진참돈은 2천년 전 고구려에서 사육된 재래돼지를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복원한 축종이다.

재래닭은 고문서와 고화를 바탕으로 농가에서 20∼30년간 연구한 끝에 복원에 성공한 일산 풍동농장 긴꼬리닭, 파주 현인농장 흑색계, 횡성 약닭, 대전 황봉농장의 황봉 등이다.

장경원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장은 “우리 재래가축을 국제기구에 등재해 가축 유전자원 주권화 논쟁에 대비한 권리 주장의 근거를 확보했다”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재래가축의 국제 주권 확보를 위해 진력하겠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