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설]블랙아웃에 대비하는 국민참여 필요

컴퓨터 바이러스가 전국 컴퓨터의 대부분을 잠식해 무용지물로 만드는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기는 일순간에 만물박사인 컴퓨터를 빈껍데기 상자로 만들어 버린다. 전기가 끊긴세상은 암흑과 무법천지로 돌변한다. 날로 치솟는 수은주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전기의 고마움이 새삼 일깨워진다. 지구는 더워지고 그에 따라 전기사용은 늘어가는데 전기를 만들어내는데는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21일 오후 2시부터 20분간 전 국민이 참여한 가운데 ‘정전 대비 위기대응훈련’이 실시됐다. 정전 대비훈련은 정부 역사상 처음이다.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예비전력이 확보돼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5단계로 구분되는 예비전력이 준비단계로 낮아진 적이 올해 들어 5월 7차례, 6월 6차례나 됐고, 지난 7일에는 316만KW로 떨어지면서 관심 경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예비전력이 바닥나면 전국적으로 대규모 동시정전(블랙아웃) 사태가 발생한다. 정부는 전력수요가 피크에 달하는 올 8월 3-4번째 주의 예비전력이 147만KW, 겨울엔 93만KW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블랙아웃이 될 경우 예상되는 피해규모는 11조6천4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올해 최대 전력수요는 480만KW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비해 공급능력은 지난해보다 90만KW 늘어났다. 고리원전 1호기 등 원전과 일부 화력발전소의 고장 및 정비로 발전을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정부는 신고리 4호기·영흥 화력발전소 6호기 등 1천16만KW 공급능력의 신규 발전소가 가동되는 2014년 봄부터는 전력부족 현상이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전력난이 이것으로 끝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전력낭비가 줄어들지 않는 한 아무리 많은 공급이 뒤따라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이기 때문이다. 또 낭비를 줄이더라도 장기적으로 원전을 쓰는 발전을 줄여나가려면 절전은 필수다. 국민 모두 절전에 동참해야 되는 이유다.

무엇보다 요금 수혜가 큰 기업이나 국가 기관등이 절전의 모범이 돼야 한다. 혈세를 쓰는 기관도 마찬가지다. 호화청사라는 지적을 받고 있는 국회 제2의원회관의 경우가 전기 낭비의 대표적 사례다. 회관 식당의 조명도는 대전청사보다 6배나 밝고 30도를 웃도는 요즘도 화장실 세정기에 온열시트가 작동하는 등 회관 전체가 ‘전기 먹는 하마’라고 한다. 전기 수요가 많은 시간대에 절전을 하고 꼭 필요한 때와 장소에서는 획일적 절전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탄력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혜가 요구되는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