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통신이 3일 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 개최 사실과 중요 결정이 내려졌음을 알려 주목된다. 조선중앙통신은 이 자리에서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결론”이 내려졌다고 전했다. “중요한 결론”의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남한 관계 전문가들은 ‘3차 핵실험’으로 간주하는 분위기다. 핵실험장인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의 서쪽 갱도와 남쪽 갱도에서 특이 징후가 포착되었다는 정보도 이런 판단을 뒷받침해준다. 우리로서는 결코 원치 않는 ‘3차 핵실험’이 초읽기에 들어간 듯한 분위기다.
북한은 지난달 23일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 2087호에 맞서 ‘비핵화 폐기’를 선언한 이래 이를 구체화하는 절차를 밟아왔다. 사흘 후인 지난 27일엔 ‘국가안전 및 대외부문 일꾼협의회’를 열고 “실제적이고 강도 높은 국가적 중대조치를 취할 단호한 결심”을 표명했다. 이 직후 국방위원회 성명을 통해 ‘3차 핵실험’을 예고했으며, 이어 1주일 만에 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 내용을 알린 것이다. 당 중앙군사위 소집을 공개한 사실 자체가 매우 이례적이다.
북한의 보도는 3중의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다. 내부를 향한 메시지, 남한을 향한 메시지, 외부세계를 향한 메시지다. 일련의 ‘중대 결심’ 보도는 대내적으로 ‘비핵화 유훈’을 성공적으로 폐기처분하고 ‘김정은식 통치 스타일’을 확립하기 위한 계산으로 읽힌다. 대남 측면에서는 남한을 철저히 무시하는 태도를 취함으로써 새로운 정부의 향후 대응을 떠보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외적으로는 지난 20년 간 구사했던 이른바 ‘벼량끝 전술’의 연장선상에서 생존을 위한 돌파구를 열어나가겠다는 선언처럼 들린다.
이렇게 본다면 ‘3차 핵실험’이 반드시 불가피한 선택인가에 대해서는 달리 해석해 볼 여지가 없지 않다. 핵실험 카드를 사용하는 순간 대내적 결속 이외에는 남는 게 없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내부적으로도 이미 두 차례나 핵실험을 거쳤기 때문에 한 번 더 한다고 결속도가 특별히 높아질 것 같지 않다. 그러나 외부 세계의 대응이 제재 일변도라고 판단할 경우 핵실험을 강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반도에서 우발적 충돌이 확대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오늘부터 6일 간 동해상에서는 한미 합동 종합해상훈련이 실시된다. 연례적인 훈련이지만 때가 때인 만큼 신경이 쓰인다. 이번 훈련에는 6천900t급 핵잠수함인 샌프란시스코 함이 참가한다. 여기에는 사거리 1천700㎞인 토마호크 미사일이 실려 있다. 만에 하나라도 어느 일방의 오해에 기인한 충돌이 발생하지 않기를 온 국민은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