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초일류 기업이라는 삼성반도체 화성공장에서 불산 용액이 누출되는 사고로 시민들이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공포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체계적인 전담 관리를 위해선 화성시에 장비와 전담 인력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는 시가 전국 최고의 개발 진행지역에다 관리해야 업체 수만도 수천 개에 달해 유사시 즉각적인 조치로 시민의 건강권을 확보하고 평상시 관련업체의 지도단속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24일 시에 따르면 시에는 현재 각종 사업체가 2만개에 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불산 취급 4개 업체를 포함해 유해화학 업체수가 3천300여개에 달해 언제 어디서 사고가 발생할 줄 모르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시는 삼성반도체 사고가 발생하자 긴급 전담반(4개조 3명)을 구성, 사고우려 유독물 사업장 58개 업체에 대해 이달 말까지 일제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관리와 시설에 대한 철저한 현장 점검과 신속한 사고 대응이 현실적인 대안이지만 아직까지 정부와 지자체의 유해화학물질 관리는 허술하기만 하다. 유독물 업체를 관리하는 시 담당부서에는 인력부족에다 담당자마저 수시로 자리를 옮겨 매년 1회 이상 실시하는 점검에서 시설의 적정성 등을 판단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게다가 유독물 이외에 유해화학물질 관리는 지역 환경청으로 이원화돼 있어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에도 한계가 있는 만큼 전담 조직 신설을 통한 통합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삼성반도체 불산 용액 누출사고 때도 전문 인력 및 장비 부족으로 신속하고 안전한 대응력을 보이지 못하는 등 행정력이 한계에 부닥쳐 시민들로부터 강한 질타를 받았다.
시 환경정책과 관계자는 “관리 이원화에 인력부족으로 지도점검이 필요한 3천300개 달하는 유해화학업체를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며 “유사시 즉각적인 조치로 시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선 장비 및 전담 인력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 반도체 화성공장에서 불산 누출 사고가 터져 1명이 숨지고 4명이 부상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