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월 수원시 행궁동 일대에서 ‘생태교통 수원 2013’ 행사가 펼쳐진다. 이 사업은 에너지 고갈을 대비해 보행과 사람 중심 교통체계로 도시구조의 전환을 시도하는 사업이다. 수원에서 세계 최초로 개최되는 행사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세계인의 시선은 수원으로 쏠리게 된다. 이 행사는 멀지 않은 미래에 닥쳐올 지구의 화석연료 고갈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있다. 석유와 석탄 등을 모두 써버린 지구의 상황을 인위적으로 설정한 뒤 인류가 적응하는 과정을 연구하며 미래 교통수단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주목받는 국제 프로그램인 것이다.
이 행사엔 생태교통연맹과 UN산하기구인 ICLEI 생태교통 세계총회 회원국 75개국 1천250개 도시가 참여한다. 주민들에겐 자동차를 대신한 다양한 형태의 생태교통 이동수단이 제공된다. 이 기간 동안 수원에는 세계의 생태교통 연구자, 개발자들이 찾아 주민들의 경험, 반응 등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세계 관련 학자, 단체, 기업 등에 제공된다. 당연히 이 행사는 수원시민은 물론 인류에게 환경보호의 당위성을 각인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수원시의 환경도시 이미지도 높아진다. 행사가 실시되는 행궁동 지역에 대한 인센티브도 있다. 도로정비와 환경개선 등을 통해 살기 좋은 마을로 변화된다.
또 축제기간 동안 골목길 이벤트 거리 조성, 국제회의 등을 개최, 관광수익 증대와 지역상권 활성화가 기대된다. 그런데 이 좋은 사업에 문제가 생겼다.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본보(25일자 22면)에 의하면 주민들은 협의되지 않은 사업의 철회를 요구하면서 이 지역 전체 주민의 3분의 2가 넘는 서명부를 시에 제출한 데 이어 25일에는 시청 앞에서 시민이 참여한 집회가 열렸다. 잘못하면 사업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주민들의 불만은 시가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시가 실제 거주 주민과는 아무런 논의도 없이 몇몇 통장들만 불러놓고 사업을 논의했다며 반발했다. 또 시가 구성한 주민추진단의 대다수 구성원이 해당지역을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다른 동네에 사는 환경운동가들이라면서 불만을 표시했다. 염태영 시장은 환경운동가 시절부터 정부+민간의 참여와 협력에 의한 거버넌스 행정을 주장해왔다. 그런데 왜 주민협의과정에서 실제 거주자들을 소홀히 했을까? ‘생태교통 수원 2013’ 행사는 지역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사업이다. 이제라도 주민들과 함께하는 시스템으로 방향을 전환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