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무단으로 투기하는 쓰레기 수거를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수원시가 ‘쓰레기 무단투기 제로화’를 위해 종량제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은 무단투기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는 등 ‘쓰레기와의 사랑과 전쟁’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원시내 곳곳에는 쓰레기 더미가 쌓이고 있다. 이 쓰레기들은 초여름 날씨를 보이는 요즘 급속히 부패, 심한 악취와 해충까지 발생시켜 시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이 살고 있는 일부 지역의 경우 밤중에 몰래 내다버리는 쓰레기로 주민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외국어까지 병기해 경고문을 붙여 놓은 곳까지 있지만 별 소용이 없는 것 같다.
지동에서 슈퍼를 운영하는 한 주민은 “특히 중국인 노동자들의 경우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사가는 것을 한번도 보지 못했다”고 푸념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계도와 단속이 시급하다. 물론 외국인 노동자들만 쓰레기 무단투기를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 국민들 가운데도 이런 몰지각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 수원시가 지난 8일 시정 브리핑에서 밝힌 내용은 심각하다.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된 지 18년이 지났지만 종량제 봉투 사용률은 60% 미만이라는 것이다. 나머지 40%가 쓰레기를 몰래 버리고 있다는 뜻이다. 이에 수원시는 이달부터 종량제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비닐봉투 등에 담아 버린 무단투기 쓰레기는 수거하지 않는다.
당연히 시민들 항의가 빗발치고 있지만 지금까지 수원시의 의지는 강경해 보인다. 과거처럼 일시적인 조치에 그치지 않고 무기한 수거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무단투기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는 것은 물론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지 않고 혼합해 배출할 경우 해당 지역 쓰레기 반입을 10일 동안 정지하고 2회 적발될 경우 1개월 동안 반입을 정지시키고 있다. 쓰레기 문제는 비단 수원만의 고민이 아니다.
수도권매립지의 경우 오는 2016년 종료되는 사용 연장여부를 두고 인천시와 서울시가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경기도 역시 이곳을 이용한다. 경기지역에서 수도권매립지에 폐기물을 반입하는 규모(2012년 기준)는 하루 평균 3천168t으로 전체(8천960t)의 35.3%를 차지한다고 한다. 당연히 인천시로서는 언제까지 수도권 쓰레기 폐기물을 받아들일 수 없는 노릇이다. 수원시의 소각장도 언젠가는 포화상태가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배출을 자제하는 수밖에 없다. 특히 가정이나 업소에선 음식물을 남기지 않고 재활용쓰레기는 반드시 분리수거해 배출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이번 조치를 지속하겠다’는 수원시를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