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과 의정부에 위치한 위기 청소년 ‘일시보호소’가 갑자기 폐쇄되기로 결정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경기도가 지난 16일 이 두 곳의 일시호보소를 내년 1월 1일부터 폐쇄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일시보호소란 가출 또는 성폭행과 학교폭력, 자살 시도, 아동 학대 등 긴급 보호가 요구되는 9~19살 청소년들을 24시간 동안 긴급하게 맡아 임시로 보살피는 시설이다.
그 동안 도에서는 수원과 의정부 2곳에 일시보호소를 설치해 24시간 연중 운영해 왔는데, 이번에 도가 별다른 설명도 없이 갑자기 폐쇄를 선언한 것이다.
올 한해는 학교폭력과 자살 등으로 우리 청소년들의 위기가 크게 붉어지면서 각계각층에서 이 문제가 그냥 넘길 수 없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자 사회적 위기임을 각성하는 한 해였다.
하루를 멀다하고 언론 대문을 장식하는 청소년의 범죄와 안타까운 자살 소식은 우리 사회 어른들이 각성해야 함을 깨닫게 해주기에 충분했다.
그래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경찰 할 것 없이 신고 전화와 상담 시스템을 강화하고 위기로 내몰리고 있는 청소년들이 쉴 수 있는 쉼터를 개설하는 등의 대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서울시와 인천광역시가 10대 여성 가출 청소년을 위한 보호대책을 강화하겠다고 한 것도 이 같은 이유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정을 경기도가 내렸으니 시민들은 의아해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우려를 의식해서인지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일시보호소 폐쇄가 단지 예산상의 어려움만은 아니라고 발뺌하고 있지만 도차원의 명확한 해명이 없다면 이 같은 논란은 앞으로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도에서는 일시보호소 폐쇄의 대안으로 단기 쉼터 운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미 단기 쉼터는 속성상 안정적인 위기 청소년 관리에 한계를 겪고 있고 청소년들 역시 까다로운 규제 등을 이유로 입소를 꺼려왔다는 점을 볼 때 이번 경기도의 설명은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
더군다나 각급 지자체들이 내년 선거에 정신이 팔려있는 상황에서 투표권도 없는 청소년들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소외될 가능성이 크다.
당장 의정부 일시보호소가 폐쇄되면 연천, 동두천, 양주 등 경기북부 지역의 위기 청소년들이 범죄와 퇴폐업소 등에 노출되는 것은 시간문제인데 이번 안전행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드러났듯이 경기북부 동두천 지역은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발생 건수에서 도내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이미 문제가 심각하다. 이 마당에 갑작스럽게 의정부 일시보호소까지 폐쇄된다면 앞으로 상황이 얼마나 악화될지 겁이 날 지경이다.
하루빨리 도는 이같이 심각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번 일시보호소 폐쇄 이유를 명확하게 해명해야 한다. 단기쉼터를 운운하며 발뺌하기 보다는 일시보호소 폐쇄에 따른 종합적인 대책마련을 내어놓아야 한다.
또한 폐쇄가 한 달 여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일선 지자체 역시 손 놓고 있을 것이 아니라 지역 차원의 대책 마련에 시급히 나서야한다.
말로만 청소년이 미래라고 떠들지 말고 우리의 미래를 진심으로 걱정할 때다. 또 다시 표에 눈이 멀어 청소년을 외면한다면 정말이지 이 나라 지방자치의 미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