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를 떠나는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2012년 교육통계연보에 의하면, 전국의 초·중등 학교중단 청소년은 7만4천365명이었다. 그런데 이 가운데 27.3%인 2만306명이 경기도에서 발생했다. 이어 서울이 1만7천924명으로 24.1%를 차지했다. 이 두 지역을 합치면 전국 학교중단자의 절반을 넘는 것이다. 학교중단 청소년들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폭력과 절도 등 비행을 저지르는가 하면 소녀들은 성매매까지 몰리는 경우가 흔하다. 또 학업 및 진로 문제, 가족, 정신건강, 대인관계 등 도움이 필요한 매우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지난해 도내 청소년 학교 중단율은 1.2%로 최근 4년간 최대치를 기록했다. 학교 밖 청소년들의 범죄를 예방하고 미래를 설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나 지자체의 체계적인 지원이 시급히 요구된다. 이때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하 가족연구원)이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경기도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를 발표해 눈길을 끈다. 가족연구원이 경기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입력된 도내 학교 밖 청소년 3천91명에 대한 전산데이터를 분석해 정책적 대안을 모색한 것이다. 각 지자체가 참고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고등학생의 학교중단 사유는 학습부진, 학업기피, 교칙위반, 따돌림, 학교폭력 등 ‘학교부적응’이 45.8%나 됐다. 특히 전문계 고등학생은 학교부적응을 이유로 학교를 중단한 경우가 일반계보다 2배 정도 높았다고 한다. 또 일탈 및 비행문제로 상담한 학교 밖 청소년은 초·중학교 연령대가 20세 이상 연령대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학업 및 진로문제 상담 청소년은 고등학생과 20대 초반 연령대가 초·중학교 연령대의 2배 내외로 높았다. 학교 밖 청소년의 지원방향도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다.
이에 따라 가족연구원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의 기본방향과 구체적인 정책과제도 내놓았다. 특히 신규 사업으로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앱 개발 보급 ▲전문상담 및 밀착 사례관리 사업 ▲학력취득 및 자립 및 취업 욕구 충족을 위한 자율 학점은행제 시범운영 ▲도립기술학교 내 청소년 직업교육과정 신설 ▲기업연계를 통한 청소년 아르바이트 일자리 창출 ▲여성청소년 직업훈련과정 확대 등의 신규 사업을 제안했다. 청소년은 대한민국의 미래다. 정부와 사회가 힘을 합쳐 학교 밖 청소년의 위기상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