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천연가스버스 보급을 위해 올해 145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천연가스버스는 대기질 개선 효과가 크다. 청정연료인 압축 천연가스(Natural Gas)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일반 경유버스에 비해 매연이나 미세먼지가 거의 없고 질소산화물 등 오존 유발물질도 경유자동차에 비해 70% 이상 줄일 수 있다. 체감 소음 발생도 절반 수준으로 적다. 다만 일반 버스에 비해 차량의 가격이 비싼 편이다. 한마디로 도심 대기질 개선에 효과적인 저공해자동차다.
도는 올해 도심 운행 빈도와 오염비중이 높은 시내버스 운수회사 등을 대상으로 천연가스버스를 구입할 경우 1대당 1천850만원을 지원, 총 796대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한다. 도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1천684여억원을 투입, 천연가스버스 8천607대를 보급했다. 이는 도내 전체버스 1만2천505대 중 68%이다. 여기에 올해 안에 796대가 추가로 도입되면 보급률은 75%로 높아진다. 천연가스버스 도입의 효과는 이미 입증되고 있다.
실제로 도내 미세먼지는 2004년 67㎍/㎥에서 2013년 54㎍/㎥로 19.4%, 질소산화물도 0.032ppm에서 0.029ppm으로 9.3% 개선됐다. 좀 더 구체적으로 경기도의 수부도시로서 자동차가 가장 많은 수원시의 사례를 들어보자. 지난해 1월 발표한 도시 대기질 조사 분석결과 미세먼지(PM-10)의 평균농도가 대기환경기준(50㎍/㎥)에 못 미쳤다. 수원시 미세먼지 농도는 2006년 67㎍/㎥를 기록한 이후 2007년 62㎍/㎥, 2008년 54㎍/㎥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해에는 46㎍/㎥로 대기환경기준 이하의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2006년보다 30%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매연이 많이 발생하는 경유시내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했고, 노후 경유자동차에 매연저감장치를 부착하거나 저공해엔진으로 개조하도록 지원한 결과다. 지난해 춘천시의 모든 시내버스가 천연가스 차량으로 교체됐다는 보도는 우리를 부럽게 한다. 예산이 많이 들겠지만 도민의 건강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바다 건너오는 미세먼지는 어쩔 수 없지만 우리 스스로 대기오염에 대한 자구책은 세워야 할 것이다. 조속한 시일 내에 천연가스버스 100% 교체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