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준성칼‘넘버1’으로 돌아온 대청도 홍어

 

오늘은 최근 인천지역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홍어’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홍어는 암컷이 수컷보다 몸집이 크고 맛도 앞선다. 따라서 가격도 암컷이 두배가량 비싸다. 때문에 뱃사람들은 수컷이 잡히면 몸 밖으로 나와 있는 그 수컷의 ‘거시기’를 순식간에 잘라버린다. 암컷처럼 변신을 주기 위해서다. 그래서 생겨난 속담이 만만한 사람과 상황을 빗대어 하는 우스갯소리 ‘홍어거시기로 아나’다.

암컷에 비해 모든 게 모자란 수컷의 비애가 숨어있는 홍어만큼 미식(美食) 마니아층이 두터운 생선도 드물다. 삭혀 먹는다는 특이한 섭취방법도 방법이지만 맛 또한 특별해서다. 홍어는 보통 항아리 속에서 삭힌다. 3~4일, 길면 6~7일 짚과 함께 넣어두었다 뚜껑을 열었을 때 눈이 맵고 코가 싸해 재채기가 날 정도가 되면 잘 삭혀진 것으로 가늠한다. 이런 홍어를 항아리에서 꺼내 마른 수건으로 손질한 다음 회무침, 찌개 등 다양하게 요리해 먹는다. 회는 날개 부분을 주로 쓴다. 또 입에 넣는 순간 시큼하고 다소 역한 냄새가 나야 제 맛으로 치는데 잘 씹어 넘길라치면 목이 후끈거려야 최고로 여긴다. 이럴 때 시원한 막걸리 한 잔을 마시면 톡 쏘는 맛과 함께 독특한 향과 개운한 뒷맛을 느낄 수 있다. 이런 기막힌 어우러짐을 ‘홍탁’(洪濁)이라 부르기도 한다. 막걸리 없는 홍어회는 완전한 홍어회가 아니라는 얘기도 여기서 나왔다.

회로 먹던 홍어를 전라도 남쪽 해안지방에서 삭혀 먹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이다. 물론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하지만 흑산 앞바다에서 홍어를 잡아 열흘 넘게 배에 실어 목포나 영산포로 운송하는 동안 신선도를 잃고 부패한 홍어를 우연히 먹고 나름대로 독특한 맛을 발견해 향토음식이 됐다는 게 정설이다. 그래서 영산포구에 있는 나주 사람들은 지금도 삭힌 홍어는 나주가 원조라고 말한다.홍어에 관한한 나름대로 일가견이 있는 전라도 지역이라도 먹는 방식은 조금씩 다르다. 흑산도에선 막걸리 식초에 소금·참기름·쪽파를 더한 초장에 찍어 먹는다. 나주에선 된장에 고춧가루·식초를 섞은 초장에 먹고, 함평·영암 등 내륙에서는 소금만 달랑 찍어 먹는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홍어는 묵은지, 돼지고기를 마늘 쌈장 고추 새우젓과 함께 먹는 삼합이 백미다. 거기에 막걸리를 곁들이기라도 하면 거나하게 취하게 마련이다. 그런 다음날은 어린 보릿대나 파래, 톳, 시래기에다 홍어 내장을 넣고 홍어탕을 끓여 먹으며 숙취를 푸는데 이 또한 별미다. 특유의 냄새가 오래가서 그렇지만.

예부터 흑산도 근해에 알을 낳으러 왔다가 잡히는 홍어를 특정해서 ‘홍어’라고 부르며 진짜로 쳤다. 덕분에 홍어하면 흑산도라는 등식도 성립됐다. 그런데 이 같은 등식이 깨졌다. 그리고 인천 대청도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대청도의 참홍어 어획량이 흑산도를 제치고 전국 1위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대청도의 참홍어 어획량이 188t(26억9천300만원)으로 흑산도의 126t(16억6천100만원)을 크게 넘어섰다. 사실 인천 사람들은 대청도가 홍어의 본고장이라고 한다. 흔히들 홍어 하면 흑산도를 떠올리지만 대청도 역시 1980년대만 해도 홍어잡이 배가 80여척에 이를 정도로 국내 최대 참홍어 산지였다고 해서다. 그리고 홍어가 전라도 음식으로서 워낙 유명세를 떨치다보니 대청도가 ‘넘버2’로 내려앉았을 뿐이라는 것이다.

홍어에 관한한 ‘넘버1’으로 올라서서 그런지 인천에 때아닌 홍어 열풍이 불고 있다. 특히 시장출마 예상자들마다 발 빠르게 ‘인천홍어 브랜드화’를 선거 공약으로 들고 나오는 바람에 지역 정가의 이슈로도 떠올랐다. 하지만 내용을 보면 지역어민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라는 원론적인 입장 이외에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결여되어 있는 것들뿐이다. 이처럼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하는 시장 출마 예상자들의 ‘립서비스’에 일부 시민들은 ‘참홍어 전국 생산량 1위’ 라는 호재를 이용해 표를 얻으려는 얄팍한 속셈을 보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민들을 만만한 유권자들로 보고 ‘홍어거시기’ 취급하는 것은 아닌 줄 알지만, 선거철마다 나타나는 병폐를 다시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