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결핵관리 중점 추진 과제를 마련하고 28일 시·군 보건소 관계자를 대상으로 시달회의를 했다. 지난 24일은 세계 결핵의 날이었다. 경기도는 이날부터 7일 간을 결핵 예방 주간으로 정하고 27일 오후 4시부터 수원역 광장에서 대대적인 결핵 예방 홍보캠페인을 실시했다. 결핵은 경제발전과 더불어 급격한 감소율을 보여 거의 박멸단계에 도달하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어느 샌가 ‘결핵 후진국’이 되고 말았다. OECD 국가 중 1위다.
불명예스러운 일이다. 신규 결핵환자 수는 2003년까지 3만1천명 이하였지만, 2005년부터 최근까지 3만4천~3만9천명 정도다. 이는 인구 10만명당 100명 정도로, 일본(22명)의 4.5배 수준이며 OECD평균(12.7명)에 비하면 무려 8배나 된다. 당연히 결핵 사망자도 OECD국가 중 1위다. 작년을 기준으로 10만명당 4.4명으로 OECD 평균인 1.9명보다 2배 이상 많다. 경제는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섰지만 결핵은 후진국인 것이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전체 결핵환자의 30% 정도가 20~30대의 청년층이란 것이다. 먹을 것이 없어서가 아니라 스트레스나 과로, 다이어트, 불규칙한 생활 등으로 면역력이 약화됐기 때문이란다. 청소년들도 과도한 입시스트레스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력 저하, 불규칙한 식사 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로 결핵감염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한다. 2011년에 나온 보고서는 ‘빈곤의 질병’답게 건강보험료가 낮은 사람들의 결핵 유병률이 높으며 또 다른 연구는 노숙인과 주거취약계층이 높은 결핵 유병률을 기록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기도는 결핵 발생률을 2020년까지 절반으로 줄인다는 정부 계획에 따라 올해 결핵 예방 사업비를 50억원으로 확대 편성하고 학교(초·중·고) 역학조사를 확대하는가 하면 권역별 민간공공협의회 구성, 시·군 보건소 전담 인력 36명 추가 배치 등 다각적인 사업을 추진한다. 결핵은 사라진 질병이 아니다. 매년 약 4만명 환자가 발생하고 2천300여명이 사망하는 등 법정 감염병 중 발생과 사망이 가장 많다. 예방을 위해서는 검진, 기침예절, 꾸준한 운동, 균형 있는 영양섭취 등 국민 각자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건강사각지대에 있는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정부나 지자체의 예방·치료 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