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통계에 나타난 홀로 사는 노인은 125만명이었다. 이는 2000년 54만명에 비해 2.2배 증가한 것이다. 그리고 오는 2035년에는 현재 홀몸노인의 3배인 343만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도내 홀몸노인은 24만4천여명이다. 이는 도내 전체 노인인구의 21%나 차지하는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평소에 외롭게 살다가 세상을 떠나는 순간마저도 혼자인 노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빈곤층 홀몸 노인들의 고독사 소식을 접할 때마다 가슴이 아프다. 전국 무연(無緣)사망자는 매년 100명 가까이 증가한다.
우리나라는 지금 급속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와 이웃공동체 의식이 점차 희박해져 인간관계가 약화되고 있다. ‘무연사회’가 되고 있는 것이다. 옆집에 사는 사람이 죽었는데도 몇 달씩 모르고 지낸다. 이에 정부가 국가의 손길이 미처 닿지 않은 곳에서 외롭게 숨을 거두는 노인의 ‘고독사’를 막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섰다는 소식이다. 보건복지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3일 홀몸노인의 고독사와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농촌고령자 공동시설지원 시범사업’과 ‘독거노인 친구 만들기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농식품부에서는 농촌지역에 독거노인이 함께 모여 살고 이용하는 ‘공동생활 홈’, ‘공동급식시설’과 열악한 위생여건 개선을 위한 ‘작은 목욕탕’을 지원하기로 했다. 농촌지역은 그나마 지역 공동체 의식이 살아 있고 경로당·마을회관 이용률이 높기 때문이다. 도시지역은 복지부가 맡았다. 도시지역은 이웃 간 관계가 소원하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집 밖으로 나와 다른 홀몸노인과 지속적으로 만나면서 친구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독거노인 친구 만들기’ 사업을 추진한다. 서로 울타리가 되도록 돕자는 것이다.
복지부는 56개 시·구의 60개 기관을 선정, 총 3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추진 지원단’을 구성, 프로그램 기획 등에 대한 멘토링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전국 44개 시·군에 이들이 모여 식사·취침 등 주거 생활을 할 수 있는 공동생활 홈 26개소, 공동급식시설 20개소, 작은 목욕탕 16개소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사업 진행상황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예산과 내용이 다소 빈약한 느낌이다. 이 문제를 복지 포퓰리즘이란 시각으로 봐서는 안 된다. 좀 더 과감하고 실효성 있는 정부의 대책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