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도일동 일원에 성균관대 신캠퍼스, 국제공동연구소 등과 친환경 주거공간이 어우러지는 지식기반형 첨단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는 평택브레인시티 사업이 끝내 불발됐다. 경기도는 지난 11일자 경기도보에 평택브레인시티 산업단지 지정해제와 사업시행자 지정취소 및 산업단지계획 승인취소 고시를 게재했다. 그동안 이 사업에 대한 우려가 많았는데 결국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총사업비 2조3천72억원이 투입되며 부지면적도 482만여㎡로 서울 여의도의 1.7배나 되는 엄청난 사업이었지만 이 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있었다.
당시 평택도시공사에서 한국자치경영평가원에 의뢰한 타당성 검토 결과는 ‘차입이자율 상승, 분양가 인하, 투자비 증가, 사업기간 내 분양률 하락 등 사업 환경이 악화될 경우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또 시장성이 불투명해 용지분양을 통한 재원 조달 차질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2009년 1월부터 개발행위 제한지역으로 고시, 지역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하고 보상 지연과 땅값 하락 등으로 인해 피해를 호소해왔다. 지난 1월6일자 본 사설에서도 지적했지만 6년여간 진척률 ‘0’이었던 평택 브레인시티 조성사업은 많은 이들에게 희망이 아니라 고통만을 안겨주는 사업이었다.
평택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는 2010년 3월에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이 승인됐지만 토지보상 등 사업 추진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여기에다 시행사의 재원조달방안도 불확실하다고 판단, 작년 7월에 사업시행자 지정 취소 및 산업단지계획 승인 취소 청문을 실시했다. 도는 사업시행자·금융기관·평택시·토지주 등과 수차례 협의를 통해 사업추진 가능성을 타진했다. 지난 1월 초엔 수용지역 토지주들이 토지보상 유보금 3천800억원을 현물 출자방식으로 제공하겠다고 함으로써 이 사업의 지정 해제 고시가 보류되기도 했다.
그러나 토지보상 유보금의 최종 집계결과 3천682억원인 데다가 금융권의 대출 확약 등 재원조달 방안도 불투명해 산업단지 지정해제와 산업단지계획 승인취소로 결론 난 것이다. 어쨌거나 도일동 일원 주민들은 이제 건물의 신·증축 및 용도 변경 등 자유로운 재산권 행사가 가능해졌다. 본란은 초기단계에서 좀 더 냉정하게 득실을 계산했어야 한다고 지적한바 있다. 이 일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앞으로 모든 개발계획은 신중에 신중을 거듭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