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싱싱한 삶을 서로 기쁨으로 노래하는 계절 5월의 첫날이다. 5월에 태어나 98년 후 5월에 세상을 떠난 ‘국민수필가’ 피천득 선생은 ‘오월’이라는 수필에서 메마른 산야를 신록이 뒤덮는다는 계절을 이렇게 예찬했다.
“오월은/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스물한살 청신한 얼굴이다/하얀 손가락에 끼어 있는 비취가락지다/오월은/앵두와 어린 딸기의 달이요,/오월은 모란의 달이다/그러나 오월은/무엇보다도 신록의 달이다/전나무의 바늘잎도 연한 살결같이 보드랍다/신록을 바라다보면/내가 살아있다는 사실이 참으로 즐겁다/내 나이를 세어 무엇하리!/나는 오월 속에 있다.”
5월은 인생에 비유하면 10대의 중반쯤이라고도 한다. 벌레 먹은 자국 하나 없는 싱싱한 이파리들이 새 생명의 기쁨을 노래하며 풋풋한 향내를 내뿜고 있어서다. 그래서 쏟아지는 햇살을 받는 연녹색의 잎들을 축복이며 희망이라 말한다.
교과서에 수록돼 젊은 청춘들의 가슴을 뛰게 했던 이양하의 ‘신록예찬’에서도 ‘5월은 우리 모두에게 너무도 소중하고 아름다운 계절’이라고 칭송했다.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보고 먼 산을 바라보라. 어린애의 웃음같이 깨끗하고 명랑한 5월의 하늘, 나날이 푸르러 가는 이 산 저 산, 나날이 새로운 경이를 가져오는 이 언덕 저 언덕, 그리고 하늘을 달리고 녹음을 스쳐오는 맑고 향기로운 바람 - 우리가 비록 빈한해 가진 것이 없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러한 때 모든 것을 가진 듯하고, 우리의 마음이 비록 가난해 바라는 바, 기대하는 바가 없다 할지라도, 하늘을 달리어 녹음을 스쳐오는 바람은 다음 순간에라도 곧 모든 것을 가져올 듯하지 아니한가?”
축복과 희망이 많아서일까. 5월은 가족으로 대표되는 공동체의 구성원이 함께 어울리기에 참 좋은 계절이기도 하다. 그래서 1년 중 유독 특정한 기념일도 많고 감사와 보은, 그리고 사랑이 넘쳐나는 나눔과 베풂도 풍성하다. 그리고 올해도 어김없이 우리 곁에 다가왔다. 하지만 그때의 그 감동 그대로 자연은 여전히 변함이 없지만 이 신록의 계절 가정의 달, 우리의 가슴에 가라앉은 희생자들을 떠나보내려니 햇빛이 너무 눈부시다.
5월을 보내기가 두렵다.
/정준성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