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이영숙 칼럼]성공적인 자녀교육의 비결

 

긍정적인 태도란 “어떠한 상황에서도 가장 희망적인 생각, 말, 행동을 선택하는 마음가짐”(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이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취욕구가 높은 자녀일수록 다음과 같은 특징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지나친 완벽주의와 실패를 두려워하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때가 있다. 성취를 향해 달려갈 때는 완벽주의자처럼 집중하지만 실패했을 때는 과도하게 자신을 비판하곤 한다.

그런데 이러한 부정적인 생각, 감정, 행동들을 극복하지 못하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학습을 꺼리고 ‘안전제일주의’에 빠져버린다.

둘째, 높은 이상주의를 가지고 있는 데 반하여 자신의 존재가치에 대한 우울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특히 청소년들은 자신의 높은 학습욕구가 충족되지 않거나, 자신의 창의적인 사고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삶에 대한 의문이 생기거나 자신의 존재가치에 대한 우울감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정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긍정적인 태도’의 성품을 훈련해야 한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아이는 실패를 겪더라도 거기에 빠지지 않고 그 원인을 검토하여 개선한 뒤 성공을 향해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긍정적인 태도’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첫째, 부모와 교사가 먼저 긍정적인 태도로 성품의 모델링을 보여 주자.

자녀들의 정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피뢰침을 발명한 벤자민 프랭클린(1706~1790)의 경우 집안이 가난하여 2년만 정규교육을 받았고, 그 뒤로는 아버지의 일을 도와야 했다.

하지만 그의 아버지는 집으로 현명한 이웃사람들을 불러 프랭클린이 그들의 지혜를 배우게 하였으며, 다양한 직업체험학습을 시켰다. 가난을 탓하며 한숨만 쉰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서 시도할 수 있는 최선의 교육을 아들에게 제공한 것이다. 아버지를 통해 벤자민 프랭클린은 가난 속에서도 희망을 찾았고, 발명가, 정치가 등의 꿈을 이룰 수 있었다.

둘째, 긍정의 법칙을 가르치자.

발명왕 에디슨이 67세 때, 그의 연구실에 불이 났다. 60년 동안 관리해 오던 연구시설과 진행 중이던 자료들이 잿더미가 되었다.

주변 사람들은 모두 절망했는데 에디슨은 “지난날의 내 과오는 이렇게 다 사라졌다. 이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으니 얼마나 감사한가!”라고 말했다. 그는 절망하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로 연구에 몰두했고, 바로 그해에 전화 축음기를 발명했다.

어려운 상황이나 갈등이 닥쳤을 때 긍정적인 태도를 선택할 수 있는 법칙이 있다. “내가 ~했다고 ~한다면 내게 유익이 무엇일까?”라고 생각해 보는 것이다.

절망 속에서 희망적인 생각, 감정, 행동을 선택한 에디슨처럼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도 긍정을 선택하는 습관이야말로 좋은 성품의 자녀를 만들 수 있다.

셋째, 긍정의 3단계를 가르치자.

‘멈추고, 생각해 보고, 선택하기’ 곧 긍정의 3단계를 가르치자.

1단계 ‘멈추기’는 부정의 사건이 닥칠 때 절망을 선택하기 전에 멈추는 훈련이다.

2단계 ‘생각해 보기’는 자신이 현재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생각해보는 것이다. 3단계 ‘선택하기’는 그중에서 가장 긍정적인 생각, 감정, 행동을 구체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이런 방법들을 통해 긍정의 성품을 기를 수 있다. 좋은 성품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연습하고 환경을 통해 경험함으로써 계발할 수 있다. 자녀가 뛰어난 지식을 가졌더라도 ‘희망적인 생각, 감정, 행동을 선택하는 좋은 성품의 태도’가 없다면 훌륭한 열매를 거두기 어렵다. 실패에 갇히기보다 긍정적인 태도로 도전하는 자녀,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좋은 방법으로 성취해내는 자녀. 그런 ‘긍정적인 태도의 성품으로 준비된 자녀가 이 세상을 희망적이고 아름다운 세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