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Herb)는 ‘푸른 풀’을 의미하는 라틴어 허바(Herba)가 어원이다. 고대부터 향(香)과 약초(藥草)라는 뜻으로 써오다가 BC 4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stus)가 식물을 교목·관목·초본 등으로 나누면서 처음으로 허브라는 말을 사용했다.
고대인들은 허브를 약초로 다양하게 활용했다. 허브가 진통·진정등의 치료뿐만 아니라 방부나 살충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5천년부터,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천800년경, 바빌로니아에서는 기원전 2천년 무렵에 허브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지금도 이곳 등지에서 출토된 점토판과 파피루스 등에 향료와 훈연흔적이 고스란이 남아있다.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만들 때 부패를 막고 초향(焦香)을 유지하기 위해 허브를 사용했다. 그리고 허브의 향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어 경애와 숭배의 대상으로 삼기도 했다.
허브의 종류는 셀수 없을 정도로 많다. 꽃과 종자, 줄기, 잎, 뿌리 등이 약, 요리, 향료, 살균, 살충등에 사용되는 인간에게 유용한 모든 초본식물을 말하는 것이어서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에는 ‘잎이나 줄기가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거나 향과 향미(香味)로 이용되는 식물’을 허브로 정의하고 있다.
기원전 1세기 로마시대의 학자 디오스코리데스(Dioscorides)가 저술한 약학, 의학, 생물학의 원전인 약물지(藥物誌)에는 6백여 종의 약초, 즉 허브가 기록되어 있다. 히포크라테스도 그의 저서에 4백여 종의 허브를 기록해 놓고 있다. 허브의 종류는 2천500여종 이상이며 우리나라에서도 1천여종의 각종 허브가 재배되고 있다.
허브를 이용, 방향요법으로 정착된 것이 아로마테라피(aroma therapy)다. 다시말해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독특한 향을 간직한 방향 물질(essential oil)의 향(aroma)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간의 면역계 기능 향상, 정신적 안정, 피부 미용에 사용하는 일종의 치료요법이다. 특히 신경정신과, 물리치료과, 피부과, 이비인후과, 산부인과 등에서 환자 치료에 사용하여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런 허브도 만나고 세계3대축제도 즐길 수 있는 카니발이 포천 ‘허브 아일랜드’에서 본사와 공동주최로 27~28일 이틀간 열린다. 볼거리 먹거리 등이 풍성하고 가을을 만끽할 수 있어 주말 가족나들이도 괜찮을듯 싶다.
/정준성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