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0년대 학창시절을 보낸 사람들은 크리스마스 씰(Christmas seal)에 대한 특별한 추억이 한 두가지 씩은 있다.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구입한 이 씰을 성탄절 카드나 국군위문편지 겉봉에 우표와 함께 나란히 붙여 사용했던 기억도 그중 하나다. 또 결핵환자를 돕는 사랑과 애정이 담겨있다고 해서 특별히 모으는 사람들도 꽤나 있었다.
크리스마스 씰이 발행된 것은 1904년이다. 산업혁명 이후 결핵이 전 유럽에 만연되자 덴마크 코펜하겐의 우체국 직원이던 아이날 홀벨(Einar Holboell)이 결핵퇴치를 위한 기금마련을 위해 발행한 우표모양의 스티커가 그것이다. 이 운동이 덴마크 국왕의 전폭적 지원으로 큰 성공을 거두자 세계로 전파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32년 12월 황해도 해주 구세결핵요양원장으로 있던 캐나다의 선교의사 셔우드 홀(Sherwood Hall)에 의해 처음으로 발행됐다, 씰의 디자인은 ‘한복입은 자매와 소나무’가 그려진 것이었다.
씰 발행은 1940년까지 9차례에 걸쳐 시행되지만 홀이 스파이의 누명을 쓰고 일본 헌병대에 의하여 강제로 추방돼면서 중단됐다. 본격적으로 크리스마스 씰 운동이 범국민적인 성금 운동으로 재개된 것은 1953년 ‘대한결핵협회’가 창립되면서부터다. 그리고 씰은 지금까지 결핵퇴치 운동 재원 마련을 목적으로 매년 발행해 오고 있다.
결핵은 오래되고 전영성이 강해 인류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병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7천년경 석기시대인의 화석과 고대 이집트와 페르시아의 미이라에서도 결핵흔적이 나타날 정도다.
현대에도 고질병으로 남아있다. 세계적으로 지난해 900만명이 폐결핵에 걸렸고 이 중 150만명이 숨졌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활동성 결핵환자가 무려 22만여명이며 지난해만도 3천200여명이 사망, 우리 국민의 사망순위 10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같은 기록은 OECD가입국 중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기도 하다. 뿐만 아니다. 발생률, 유병률, 다제내성 결핵 환자수도 각각 1위여서 4관왕에 올라있는 셈이다.
엊그제 대한결핵협회가 크리스마스 씰을 발행하고 모금 캠페인을 시작했다. 모두가 결핵퇴치에 쓰기 위해서다. 전염성이 강해 ‘나’도 위험해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동참했으면 좋겠다. 특히 작은 금액의 씰 한장이 바로 이웃 사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주저할 이유가 없을 것 같다.
/정준성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