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군 공항 이전계획이 본격 추진되어 120만 수원시민들의 염원이 이루어지게 됐다. 이 사업은 수원시가 4조5천억 원을 투입해서 525만㎡ 규모의 수원 군 공항을 이전하고 이곳에 테마공원과 첨단연구단지, 메디컬파크, 저밀도 주택단지를 조성하여 획기적인 도시개발을 추진해갈 방침이다.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여 추진해 가는 일이 중요하다.
수원시는 다행이 시민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시민운동본부를 발족하였다. 고양시와 시흥시 그리고 부천시 등지에 위치한 도내 군사보호구역의 규제가 대폭 완화되어 수원권 주변 도시지역민도 환영일색이다. 수원시는 국방부에 제출한 수원 군 공항 이전건의서에 대해 지난 6월 국방부·공군본부·수원시 간 공동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난달까지 매주 1회 회의를 개최하여 군 공항 이전에 대한 협의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부지면적, 보상비, 건축물 등 세부시설 설치계획, 화성시에 존치돼 있는 탄약고 부지 활용방안 등 다각적인 내용에 대해 합의했다.
수원 군 공항 이전은 수원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사업으로 국가적 차원에서도 국방전력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국방부와 공군본부, 수원시는 회의를 통해 신규 군 공항 건설사업, 군 공항 이전 주변지역 지원방안, 종전부지 활용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를 실시하였다. 경기도내 군사보호구역의 규제도 대폭 완화될 전망이어서 기대가 모아진다. 이들 지역은 GB해제 취락지역 57곳 가운데 28곳이 군사보호구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동안 GB해제 취락 지역과 군사보호구역 간 층고제한이 달라 주민들이 불편을 겪어왔다. 앞으로 51사단 지역은 통제보호 구역과 폭발물 제한보호구역을 제외한 제한 보호구역 완화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
부천시가 용도 변경을 추진 중인 오정동 1175공병단은 부대 이전을 2030 육군 재배치 계획에 반영키로 했다. 이와 함께 성남 사격장과 수원 비행장의 소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성남 사격장은 사격 횟수 조정과 일정을 사전에 고시하고 야간사격을 제한 등의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수원 비행장은 군·주민·지자체가 참여하는 협의회를 정기적으로 운영한다. 국방부는 앞으로 군사시설보호구역 관련 법령을 개정해 경미한 설계 변경 등은 군과의 협의를 간소화하고, 군의 검토기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시민들의 통합된 의견을 수렴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해가야 한다. 미래의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하여 경쟁력 있는 도시성장을 이뤄가기 위해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시민이 기대하는 도시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