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농협이 언론 및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비판적 시각을 ‘몰상식’으로 치부하며 권력기관을 자처하고 있다.
마치 5공화국 시절 정부가 언론에 재갈을 물리며 권력의 시녀노릇을 강요한 ‘보도지침’ 망령이 부활한 듯하다.
앞서 본보는 기획연재(1월 27·28·29일자 4·5면)를 통해 오경석 본부장 취임 한달여의 행보와 문제점을 진단했다.
보도를 통해 오경석 본부장의 구제역 방지노력 미흡, 의례적인 방역초소 방문, 기관장 눈도장 찍기 등을 지적했다.
방역초소를 돌며 떡국을 건네고 기념촬영을 하는 일련의 활동이 일부에선 의례적 행사로 비쳐진다는 것이었다.
또 도내 구제역 공포가 만연된 마당에 기관장을 찾아다니며 눈도장을 찍는 것도 환영받을 일은 아니라는 지적이었다.
지난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이 사망·실종자 유족 곁을 끝까지 지킨 것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특히 경기농협이 농협중앙회 중역으로 가는 길목인 점을 감안하면 좀 더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는 제언이기도 했다.
하지만 경기농협은 이같은 지적을 상식에서 벗어난 일부 몰상식한 사람들의 시각으로 거세게 몰아부쳤다.
언론보도는 자신들이 의도한 방향대로 이뤄져야 하고, 불리한 모든 비판적 시각도 배척돼야 한다는 논리다.
경기농협 홍보실 관계자는 기자 앞에서 실무진 취재를 가로막고 의기양양하게 버티는 호기(?)스런 모습까지 보였다.
모든 취재원 접근은 홍보실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그밖의 자료요구나 취재행위는 결코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민들의 알 권리는 물론 언론의 보도기능조차 인정하지 않고 스스로 성역화 하려는 의도로도 읽히는 대목이다.
농협중앙회 지역본부 중 전국 최대규모인 경기농협의 속살에 대한 실체적 접근과 사실검증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