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경기도 국회의원 초청 정책협의회에서 경기도를 ‘특별도’로 격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설훈(부천 원미을) 의원은 “경기도는 서울보다 인구가 많은데 공무원 수가 적다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설의원은 이어 경기도를 특별도로 만들어 규모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도를 특별도로 만들기 위해 새로운 모임을 만들어 논의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앞서 남경필 지사는 경기도 특별도 격상을 골자로 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기도 위상 정립 방안’ ‘국고보조사업 적극적인 지원’ 등의 내용이 담긴 건의서를 의원들에게 전달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경기도를 ‘특별도’로 격상하는 방안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경기도와 설 의원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현재 도의 인구는 1천270만명이다. 서울보다 230만명 많은 인구다. 인구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위치에 있다. 우리나라 사업체 수의 20.5%, 사업체 종사자의 21.2%를 경기도가 품고 있다. 이 사업체들의 연간매출액은 무려 806조원이나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최대 광역단체라는데 이의를 달 수 없다.
그런데 경기도 소속 공무원 수는 고작 3천506명밖에 안 된다. 인구수가 경기도보다 230만명이나 적은 서울시는 1만614명이다. 공무원 1인당 주민수는 서울은 952명이지만 경기도는 3천525명이나 된다. 즉 경기도민은 서울시민보다 훨씬 열악한 행정 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도지사의 대우도 서울시장과 차이가 있다. 서울시장은 장관들과 국무회의에 참석해 대통령과 국무총리에게 지역 현안사항을 건의하고 논의할 수 있는 자격이 있지만 경기도지사는 그렇지 못하다. 이날 참석한 38명의 국회의원들도 수긍할 수밖에 없는 내용이다.
이는 인구 120만명의 수원시나 100만명의 고양시, 100만명을 눈앞에 둔 용인시, 성남시도 마찬가지다. 수원시는 울산광역시보다 많은 인구 120만명의 대도시임에도 기초자치단체에 묶여있어 시민들이 각종 불이익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얼마 전 경남 창원시의 안상수 시장이 광역시를 추진하겠다고 선언해 눈길을 끈 바 있다. 통합 창원시는 물론 120만명의 수원시, 100만명이 넘은 고양시도 마찬가지지만 광역시 승격까지는 현실적 난관이 있다. 우리는 경기도가 특별도가 되길 바란다. 아울러 도내 ‘대도시’들에게도 특별한 배려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