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변성은 황반이 변성되는 질환입니다. 우리 눈에는 망막이라는 신경조직이 있는데 망막은 시각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뇌로 보냅니다. 망막은 뇌조직과 같은 신경조직으로 안구안쪽에 벽지처럼 붙어 있습니다. 황반은 망막의 중심으로 시력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황반부에 세포들의 변성되고 손상되는 질환이 나이관련 황반변성입니다.
황반은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황반변성이 발생하면 시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특히 중심부 시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시야의 중심에 암점이 발생합니다. 이 정도로 시력이 떨어지면 시력회복이 안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중요합니다. 암점이 발생하기 전 증상으로는 물체가 휘어 보이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이나 물체가 휘어 보이거나 왜곡되어 보인다면 황반변성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암슬러격자를 갖고 계시면서 선이 휘어 보이는 등의 이상증상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해 보는 것도 황반변성을 조기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암슬러격자 이용 시 중요한 것은 반드시 한 눈씩 가리고 검사하는 것입니다.
병의 진행단계에 따라 초기 황반변성과 진행된 황반변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 황반변성은 세포 대사의 결과로 만들어진 노폐물인 드루젠(drusen)만 있는 경우입니다. 드루젠은 세포들의 대사로 발생한 노폐물이 세포사이의 조직에 침착된 것으로서 세포로의 산소와 영양분 이동을 방해하여 세포변형과 세포손상을 일으킵니다. 초기 황반변성이 있는 경우는 세포손상 정도가 아직 심하지 않기 때문에 대체로 시력이 좋습니다.
진행된 황반변성은 신생혈관이 발생하여 망막세포들이 손상된 경우와 신생혈관이 없더라도 망막세포들이 손상된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신생혈관이 있는 경우를 삼출성 황반변성이라 하고 신생혈관 없이 세포만 손상된 경우를 위축성 황반변성이라 합니다. 진행된 경우라도 신생혈관의 크기가 작거나 세포손상의 범위가 좁은 경우 비교적 시력이 좋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생혈관이 크거나 세포손상의 범위가 광범위한 경우에는 시력이 매우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가능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일찍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드루젠만 있는 초기 황반변성 경우 5년내 진행된 황반변성으로 진행하는 빈도는 5%에서 50% 정도로 환자마다 다릅니다. 초기 황반변성단계에서는 비타민C, 비타민E, 아연, 루테인, 지아잔틴 성분이 들어있는 약을 복용하면 진행된 황반변성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비타민은 항 산화작용으로 망막세포를 산화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루테인과 지아잔틴은 황반부에 있는 색소로서 빛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루테인과 지아잔틴을 복용하면 황반부에 존재하는 색소의 농도를 높아져 황반변성의 진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약물로는 비타민C, 비타민E, 베타카로틴, 아연이 들어있는 오큐바이트와 루테인과 지아잔틴이 들어있는 오큐아레즈2, 오큐테인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또는 현재 흡연을 하시는 분들은 베타카로틴을 과량으로 드실 경우 폐암발생 빈도가 증가하므로 베타카로틴이 들어있는 약물은 안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