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북한이탈 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는 귀순자, 귀순용사, 귀순북한동포, 탈북자 등 다양했다. 그러다가 2005년부터 한국정부는 한국거주 탈북자를 순화 용어인 ‘새터민’으로 바꿨다. ‘새로운 터전에 정착한 주민’이라는 의미였다. 그런데 새터민이라는 용어는 일부러 만든 것이니 만큼 억지스럽고 부자연스럽다는 것이 중론이었다. 그래서 지금은 ‘북한이탈주민’이란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
큰 희망을 품고 사선(死線)을 넘어 온 사람들이지만 이들의 한국생활은 결코 녹록치 않다.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체제가 달라도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숱한 어려움을 넘기고 한국에 들어 온 많은 북한 이탈주민들이 겪는 어려움은 참 많다. 우선 형언할 수 없는 고생의 연속인 탈북과정에서 몸과 마음이 병든다. 또 우리사회의 심한 빈부격차에 절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연줄(혈연, 학연, 지연)을 중시하는 사회의 분위기 등 정착을 저해하는 요소가 이곳저곳에 쥐덫처럼 놓여 있다. 물론 더러는 정착에 성공해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사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북한이탈주민들은 최악의 경우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목숨을 걸고 나왔던 북한으로 되돌아가는 이도 있다.
이런 시점에서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기본방향을 제안한 김동성 경기개발연구원 북부연구센터장의 ‘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지원 종합구상’ 연구보고서에 주목하게 된다. 현재(2014년 6월 기준) 북한이탈주민은 2만4천671명이다. 그런데 경기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은 7천41명이다. 전체의 28.5%로서 전국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서울 26.6%, 인천이 9.2%를 포함하면 수도권 거주 비율은 64.3%나 된다. 남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은 경제·의료적 지원을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취업·교육·주택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동성 센터장의 지적처럼 북한이탈주민은 우리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이자 엄연한 지역주민이다. 따라서 국가는 물론이고 광역자치단체와 지자체들은 이들의 정착과 자립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 특히 북한과 철조망을 맞대고 있는 경기도는 한반도 통일 시대를 대비해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자립을 도와야 한다. 이들은 남북한 민족 공동체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국민이자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모두의 관심과 포용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