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9일 이틀간 사전투표가 진행됐으나 투표를 하러간 장애인과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불편을 겪었다고 한다.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처음으로 도입된 사전투표를 위해 경기도내에는 모두 560곳의 투표소가 설치·운영됐다. 그러나 이 가운데 70%에 이르는 393곳은 투표소가 2층 이상 고층이거나 지하층에 사전투표소를 설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강기나 휠체어리프트 등이 없는 곳이 112곳(28.5%)에 달해 이동 약자들이 투표하는데 불편을 겪거나 발길을 돌렸다는 것이다. 이는 선거관리위원회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들을 위한 세심한 배려를 하지 못한 결과로 각 지자체마다 상황이 천차만별이었다.
일부 투표소는 이같은 문제가 제기되자 부랴부랴 투표소를 변경했지만 이를 알지 못한 유권자들이 기존 투표소를 찾아가는 등 투표에 혼선을 빚기도 했다고 한다. 지난 6·4 지방선거 때도 경기장애인인권포럼 부설 일산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장애인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투표소 접근권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해 문제 투표소(엘리베이터가 미설치된 2층 투표소)들을 변경을 건의하기도 했다. 모니터링 결과에는 경사로를 설치하지 않은 농촌지역의 투표소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데다 일부지역은 경사로 파손, 장애인화장실 미비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일부는 장애인주차장을 찾기가 어렵고, 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이 설치된 곳도 1/3에 불과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도 이번 총선에서는 장애 유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는 하다. 투표소 이동 편의를 위해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장애인 전용차량을 추가로 확보하고, 투표활동 보조와 수화통역서비스를 실시하는 등 투표참여가 불편한 선거인들을 위한 다각도의 대책도 마련하고 있다. 투표소의 설비는 선거 전 날인 12일까지 최종 완료토록 돼 있는 만큼 마지막 점검을 통해 불편이 없도록 해야 한다. 자칫하면 투표과정에서 문제가 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은 물론이거니와 일반 유권자들이 참정권을 행사하는데 조금이라도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국가인권위원회에서도 지적한 대로 장애인들의 참정권 행사와 확대는 더 신경을 써야 한다. 투표소 설치가 오늘이 마지막 날인 만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각 투표소마다 철저한 점검과 준비를 통해 국민들의 참정권 행사에 조금이라도 불편을 주지 않도록 노력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