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전임 시장 재임 당시 남양주시와 생활폐기물을 공동처리하기 위해 민간투자 사업으로 추진해 온 ‘구리·남양주 에코 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이 인접 주민들의 반대 등을 이유로 재검토하기로 해 무산 위기를 맞고 있다.
22일 구리시와 남양주시에 따르면 두 시는 적합한 생활 폐기물 처리방법과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구리·남양주 에코 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지난 2012년 10월 광역화 협약을 체결했으며 두 시의회로부터 기본협약체결에 대한 동의도 받았다.
이 사업과 관련해 사업부지 인근 5개 아파트 단지 1천900여가구 주민들은 ▲기존 하수종말처리장 및 기존 소각장 가동으로 냄새 및 분진 등의 환경 피해를 지속적으로 받아왔고 ▲기피 시설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 신설 및 소각장 증설로 환경 피해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기피 시설이 타운화, 집중화 돼 아파트 시세 및 집값 하락 예상 등을 이유로 반대해 왔다.
주민들은 1천428명의 반대 서명부를 시와 시의회 등에 제출한 상태다.
이와 관련 지난달 13일 구리시장 재선거때 ‘음식물 처리공장 재검토’를 공약한 백경현 시장이 그 이튿날 취임 직후 ‘구리·남양주 에코 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 동의안’ 철회 공문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시의회 야당의원들은 이같은 집행부의 공문에 “매우 유감스러운 처사”라며 백 시장이 조속히 명확한 입장을 밝혀줄 것을 요구했다.
구리시는 이에 대해 “재검토 중에 있기 때문에 아직 입장이 정리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반면 남양주시는 다산신도시 및 양정역세권 개발사업, 인구 증가 등으로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어서 구리시의 조속한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자칫 음식물 쓰레기 대란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 사업은 구리시 자원회수시설 및 인근 부지에 기존 소각시설 1일 100t 증설 및 음식물처리시설 1일 200t 신설을 위해 국비 305억 5천만원과 도비 244억 7천만원, 구리시 188억 5천만원, 남양주시 371억 8천만원, 민간투자 608억 8천만원 등 모두 1천719억 3천만원이 투자되는 민간투자사업(BTO)이다./구리=이화우기자 lh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