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적인 6·25전쟁이 1953년 7월27일 휴전이 된지도 63년의 세월이 지나갔다. DMZ는 한국을 대표하는 평화와 생명의 보고가 되었다. 역사적 사실과 환경 및 지역의 문화 등을 통합적이고 국제적으로 접근해 가야한다. 해외 전문가들의 제안을 경기도가 긍정적으로 수용할 때이다. 생태계서비스 파트너십(ESP)에서도 DMZ 보전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구축하려면 정례적 교류를 위한 협력 플랫폼이 필요하다. 전문가와 국민들의 관심을 높여가야한다. ESP에서 경기도에 아시아 지부 설치 계획을 밝히고 국내 활동의 합법적인 사무 공간을 제공하거나 공동 프로젝트 등 협조할 수 있다고 한다.
DMZ의 약 70%가 사유지로 통일 전에 반드시 보전 활동을 마련해야 된다. 경기도는 DMZ의 가치를 알리고 보존하며 접경지 지역 주민을 위한 경제적 혜택 제공 등의 노력을 해간다. DMZ 홍보와 안보, 관광 및 지역에 도움이 되는 생태관광소가 되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평화누리길 조성, DMZ 자전거 퍼레이드, DMZ 포럼 등 다양한 사업을 활성화시켜가야 할 때이다. 지난해부터는 강원도, 행정자치부와 함께 DMZ 관련 행사도 추진하는데 이 또한 활성화가 절실하다.
당국은 국내외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가야된다. 인접 지자체 간 협업과 역할 분답도 필요하다. 국내 전문가들은 지자체와 행정구역 단위로 분리된 DMZ 정책을 통합 기구 설치 등으로 일원화해서 시행과 관리의 합리성을 극대화시켜 가야할 것이다. 이외에도 DMZ 환경 보존을 위한 국제 교류를 현장 활동가와 NGO 차원에서도 이뤄지도록 하여야 한다. 지역 주민 생활에 피해가 없는 보전과 개발의 상호상생 접점을 찾는 일도 매우중요하다. 향후 경기도의 DMZ 정책 방향은 보존을 통합적으로 접근해가야 한다. 정부와 인근 지자체의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확충시켜가야 된다.
통일 후의 대책마련도 필요하다. 보전은 환경은 물론 DMZ가 가진 모든 가치를 다양한 차원에서 보전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해가야 한다. 독일연방 자연보전청과 협력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갈 필요가 있다. 베트남 구 접경지나 인도, 파키스탄, 중국 등의 접경지 또는 이번 국제 워크숍에 참석한 인도-부탄 접경지인 ‘마나스’와의 협력을 강화해 가야한다. DMZ 정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방안을 지역 주민들과 함께 해 가야한다. 도 정책 사업인 ‘평화누리길 게스트하우스’ 사업 추진 시 마을주민과 함께 타 지역을 답사하는 등 공동노력을 강화해간다. DMZ와 관련한 각종 행사에서는 접경 지역 마을 주민들의 보호와 참여를 각별히 배려해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