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전기료 폭탄은 학교도 예외가 아니다. 더욱이 내구연한 9년이 넘어선 고물 에어컨이 경기도내에는 47%에 이른다니 전기료가 더 나올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경기도교육청에 의하면 도내 각급학교에 설치된 냉난방기는 모두 16만2천832대인데 이 가운데 내구연한이 지난 2008년도 이전에 설치된 것이 7만6천781대로 47%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13~15년을 초과한 것도 3만 여 대가 넘는다고 한다. 이로 인해 냉난방 시간이 길어지면서 전기료 사용시간도 함께 길어지고 있다. 가뜩이나 아직도 한낮의 기온이 섭씨 30도를 훨씬 넘는 무더운 날씨에 학교와 학생들이 힘겨워 하고 있다.
학교를 더욱 어렵게 하는 것은 전기요금체계다. 가정용 전기요금 폭탄의 원인이 되는 누진제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교육용 전기요금도 심각한 지경이다. 학교 전기요금 실제 부담단가(㎾h당 129.1원)가 산업용 전기요금의 실제 부담단가(㎾h당 106.8원)보다 훨씬 비싸기 때문이다. 피크전력 사용량을 기준으로 한 기본요금 산정방식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 2008년 이후 7년 간 교육용 전기 요금을 41.3%나 올렸다. 때문에 대부분 학교가 요금 부담으로 에어컨을 틀지 못해 학생들이 찜통 속에서 공부해야만 했다. 십 수 년 전부터 교육계에서는 학교전기요금을 산업용에 준해서 매겨줄 것을 꾸준하게 건의해보았지만 여태 대답 없는 메아리만 되고 있다.
이미 개학했거나 개학을 앞둔 학교들은 학교마다 8월분 전기료고지서가 발부되기 전부터 고심하고 있다. 폭염이 계속되면서 각급 학교의 올 전력사용량은 사상 최대치가 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지난 18일 국회에서는 ‘전기요금 폭탄에 펄펄 끓는 학교 교실, 대책은?’이란 주제의 토론회가 열리기도 했다.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이 학교전기요금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고무적인 일이다.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은 토론회에서 “일선 학교가 에어컨 가동을 중단시키고 있고, 심지어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00일도 남지 않은 고3 학생들도 오후 2시 이후에 모두 귀가시키고 있다. 학교와 학생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요금 감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당정이 전기요금체계 개편을 위한 TF팀을 구성한 만큼 당연히 학교 전기요금도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학생들이 폭염 속에도 쾌적한 환경에서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산업용보다 훨씬 비싼 학교전기요금 체계를 반드시 바로잡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