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다문화 사회적 편견 개선 교육 필요

현재 우리나라 다문화 가족은 90만명에 달한다. 체류외국인도 200만명을 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전체 국민의 4%다. 다문화가정 자녀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7년 4만4천258명에서 2014년 20만4천204명으로 무려 4.6배 증가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이제 다문화사회가 됐다. 말할 것도 없이 결혼이민자는 한국인이다. 그리고 소중한 우리의 인적자원이다.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서도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차별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편견과 차별, 이른바 ‘왕따’를 당하고 있으며 더러는 학교폭력의 대상도 된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정체성 혼란을 겪기도 한다. 또 빈곤한 가정환경과 달라진 언어 환경 때문에 학습부진을 겪기도 한다. 따라서 체계적인 다문화 이해교육, 반편견 교육,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학생들이 순혈주의와 배타주의를 넘어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얼마전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 지원방안 연구’도 다문화와 비(非)다문화 구별 없이 모든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정책을 내실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경기도내에서는 매년 5천여명의 다문화가정 아이가 태어난다. 그리고 매년 2만여 명의 다문화가정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한다. 그런데 다문화가정의 초등학생 자녀 학업 중단율은 2014년 0.9%나 됐다. 이는 일반가정의 자녀(0.2%)에 비해 4.5배나 높은 것이다. 다문화가정 자녀 초등학교 학업 중단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2년엔 278명이었으나 2014년엔 435명으로 늘었다. 더 우려되는 것은 이들이 10년 뒤 청년이 됐을 때 사회부적응 현상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책이 시급하다. 보고서는 다문화와 비(非)다문화라는 칸막이를 뛰어넘어 학생 모두의 문화적 다양성과 수용성을 제고시키는 범국민적 다문화 교육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현재 다문화정책 대상은 다문화가정으로 한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초중등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미취학 영유아 아동의 교육과정에도 다문화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면서 기존의 온정주의적이거나 시혜성 정책에서 벗어나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스스로 자립하고 한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는 쪽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가장 큰 문제점은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다. 이에 대한 사회교육도 필요하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