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열린광장]저장 안해도 몰카 촬영 범죄자다

 

성폭력 특례법 14조에 의하면 카메라나 그밖에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신체를 그 의사에 반하여 촬영하거나 그 촬영물을 반포·판매·임대·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상영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되어있다.

또한 몰카 촬영의 처벌로 벌금형 이상의 형이 선고되면 성범죄자 신상등록이 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최신화 된 장비의 보급이 빨라지면서 다양한 몰카 촬영범죄가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 있고, 특히 사람들이 많이 붐비는 출퇴근시간을 이용한 몰카 촬영이 늘어나고 있다.

간혹 몰카촬영을 한 뒤 ‘저장을 하지않고 기록을 지우면 괜찮겠지’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보이기도 한다.

실제로 한 피고인이 2009년 9월28일 8시55분경 서울지하철 1호선 종로3가역 환승에스컬레이터 내에서 검은색 짧은 치마를 입고 있는 피해자의 뒤에 서서 가지고 있던 카메라폰으로 치마 속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던 중 경찰관에게 발각되자 카메라폰의 저장버튼을 누르지 않고 촬영을 종료시켜 촬영을 종료했다. 당시 위 범행이 기수에 이르렀다는 사실에 대한 증명이 없다고 보아 1심, 2심 재판에서는 범행이 미수에 그쳤다고 판결하였지만, 대법원에서는 원심에서 동영상 촬영 중 저장버튼을 누르지 않고 촬영을 종료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위 범행이 ‘기수’에 이르지 않았다고 단정한 판결을 파기하고, 촬영된 영상정보가 전자파일 등의 형태로 영구저장되지 않은 채 사용자에 의해 강제종료 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미수에 그쳤다고 볼 수는 없다고 판결한 사례가 있다.

즉, 빠르게 발전하는 휴대전화와 카메라의 성능을 고려하여 판결을 한 것이다. 카메라·영상 장치 등을 이용해 타인의 은밀한 신체부위를 타인의 의사에 반하여 몰카 촬영을 하는 순간 저장유무에 상관없이 범죄가 성립이 된다는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할 것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