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발두통은 아주 센 강도의 두통이 한쪽 머리에만 찾아오는 질환으로 한번 발생하면 15분에서 3시간까지 지속되며 하루에 8번까지도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신경과 조수진 교수, 분당재생병원 김병수 과장 등 다기관 공동연구팀(한국군발두통레지스트리)은 ‘군발두통의 진단 지연 및 예측 요인’ 연구를 통해,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생체지표가 없어 군발두통 환자들의 진단이 늦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2016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15개 대학병원의 군발두통 환자 445명을 분석했다. 진단 지연기간에 따라 전체 환자를 3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는데, 1그룹(발병 후 1년 내 진단) 135명, 2그룹(1~6년 내 진단) 148명, 3그룹(7년 이후 진단) 162명이 속했다.
군발두통 발병 후 진단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5.7년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환자 중 69%가 1년 이상, 36%가 7년 이상 진단이 지연됐다.
특히 젊은 군발두통 환자의 진단지연이 심각했는데, 청소년기(19세 이하)에 처음 군발두통이 나타난 환자의 90% 이상이 1년 이상 진단이 지연된 것으로 확인됐다. 7년 이상 진단이 지연된 3그룹의 연령별 비율은 20세 미만이 60%를 차지하는 반면 40세가 넘는 환자는 9%에 불과했다.
진단 지연기간이 늘어날수록 환자들의 정서적 측면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했다. 1그룹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불안 및 우울 등 정신과적 동반질환을 가진 환자의 비율이 점차 증가했다. 자살충동과 두통영향지표(HIT-6)는 진단지연이 길어질수록 증가해 삶의 질을 떨어뜨렸다.
조수진 교수는 “청소년 군발두통 환자들의 진단 지연이 심각한 것은 편두통으로 오진되기 쉽고, 어린 나이에 본인의 두통을 제대로 호소하지 못하거나, 학부모나 교사들에게 학업스트레스 등으로 오인되는 영향이 있다”며 “머리가 아픈 아이들이 적지 않고, 군발두통 외에도 편두통 등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인 ‘프론티어 인 뉴롤로지’ 2월호에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