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버스노동조합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공약한 버스 준공영제 확대 시행을 신속히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노동조합은 21일 오전 11시 경기도청 앞에서 ‘준공영제 공약 이행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도지사는 공약 이행에 대한 실현을 분명히 약속하고 준공영제 로드맵을 제시하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약 1만2000대에 달하는 경기도 전체 노선버스 중 80%에 달하는 1만여 대의 일반시내외버스는 준공영제로 전환되지 못하고 있다”며 “준공영제 노선의 기사들은 1일2교대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일반시내외버스 기사들은 장시간 운전과 저임금을 받는 등 차별과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버스 준공영제가 확대 시행되면 공공이 노선 신설과 조정, 운행 횟수, 적자분에 대한 재정지원 등을 맡고 민간사업자는 운영만 맡게 된다”며 “따라서 버스의 정시성과 안전성, 편의성이 확보되고 시민들도 교통복지와 이동권이 더욱 폭넓게 보장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지난 6월 1일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유력 양당 후보들(김동연‧김은혜)은 모두 시내버스 준공영제 확대 시행을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다”며 “이는 경기도의 버스 문제가 열악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당선이 되고 나면 재정과 결부시켜 준공영제는 좌초되고 말았다”며 “민선 8기 김동연 체제는 달라져야 한다. 이재명 전 지사의 정책을 계승하겠다는 김동연 지사의 약속은 준공영제 전면시행으로 완전해져야만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아울러 “만약 공약 폐기가 확정되거나 폐기를 위한 시간 끌기라고 판단되면 즉시 총파업에 돌입하는 등 할 수 있는 최고 수위의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며 “김동연 도지사는 노동자들의 이행 촉구와 경고를 가벼이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에 소속된 총 83개의 노조 중 60%에 달하는 50개 지부가 참여해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노조는 전날까지 경기도가 시내버스 준공영제 공약을 재검토하기로 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며 수위 높은 투쟁을 예고했다.
그러나 도가 전날 이에 대한 해명자료를 내고 “전혀 사실이 아니며,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실무적으로 검토해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노조는 “오늘 기자회견은 준공영제 이행에 대한 확답을 받기 위한 자리”라며 “올해 말까지 구체적인 이행 안을 발표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