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9년 동안 노란색 이외의 넥타이를 매본 적이 없고, '노란 피가 흐르는 게 아니냐'는 농담을 듣기도 했다. KB금융을 상징하는 색인 노란색 넥타이를 매고 일할 수 있어 감사하고 행복한 시간이었다."
오는 11월 퇴임을 앞둔 윤종규 회장이 그동안 KB금융그룹을 운영하며 이룩한 성과 및 소회를 털어놓으며 이같이 말했다.
윤 회장은 25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처음 회장에 취임했을 때는 녹록치 않은 상황이었다. 지배구조는 흔들렸고, 직원들은 1등 DNA를 점차 잃어갔다"며 "많은 분들이 축하보다는 걱정을 해주셨다"고 취임 당시를 회상했다. 윤 회장이 KB금융을 이끌기 시작한 2014년은 회장과 행장이 주전산기 교체를 두고 갈등을 빚었던 일명 'KB사태' 직후였다.
그러면서 ▲임기 첫 3년은 국민은행의 리딩뱅크 회복을 위해 노력했으며 ▲두 번째 임기 동안은 KB금융의 리딩금융그룹 탈환을 위해 비은행을 강화했고 ▲마지막 임기 3년 동안은 KB금융의 지배구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승계 절차를 구축하는 데 힘썼다고 설명했다.
윤 회장은 지난 9년간 이룩한 성과 가장 기억에 남는 것으로 '리딩금융그룹 탈환'을, 아쉬웠던 점으로는 '글로벌 경쟁력'을 꼽았다. 그는 "KB가 리딩뱅크라고 얘기하지만 세계 순위로 보면 60위권에 머무르고 있어 굉장한 아쉬움이 있다"며 "경제 규모를 생각하면 10위권 언저리에 있어야 할 텐데 60위권 내외에 그쳐 자괴감을 느끼고 있는데, 양종희 내정자께서 한 단계 더 진보하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3연임이 확정되던 당시, 4연임에 도전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진퇴(進退)를 미리 결정하고 시기가 오면 실행해야겠다고 마음을 굳히고 있었다"며 "시장과 투자자들이 이를 우호적으로 판단했고, 이에 충격이 없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금융사의 지배구조에 대해서는 "정답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각 회사의 연혁·업종·특성·문화 등 차이를 고려해 개별 기업에 맞는 지배구조를 개발하고 육성·발전시켜야 한다"고 했다.
이어 "KB의 경우 소위 '흑역사'라고 평가되는 부분이 있었기에 많이 신경 썼던 건 사실이며, 취임 초기부터 이사회와 협력해 후계자 육성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며 "저희 지배구조가 완벽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더 발전시키고 모자란 부분을 보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융지주 회장의 연임을 둘러싼 부정적 시선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드러내기도 했다. 윤 회장은 "2018년 하버드 경영자 리뷰 자료를 살펴보면 S&P500 기업 CEO들의 평균 재임 기간은 10.2년이고, 이코노미스트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평균 재임 기간이 7년"이라며 "3년 혹은 6년마다 CEO가 바뀌는 체제에서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성과가 서서히 나오는 투자를 어떻게 할 수 있겠냐"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CEO에 대한 시장 반응은 객관적이고 행동주의도 폭넓게 퍼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개미 투자자들이 개인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고, 주주를 믿고 CEO 재임 기간에 대해 회사별로 차별화되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부연했다.
금융권에서 반복해서 일어나는 금융사고에 대해 "최근 국민은행 증권대행부 일부 직원들이 내부정보를 이용한 투자로 100억 가까운 이익을 얻어 검찰이 조사 중"이라며 "제가 사과했어야 하는데 양종희 회장 내정자가 먼저 사과했다. 다시 한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뒤를 이어 KB금융 회장직을 수행할 양종희 내정자에게 "제가 회장직을 인수받았을 때에는 (달리던 선수가) 넘어져 한참 뒤쳐져 있던 상황이었지만, 지금은 열심히 노력해 한 발 앞선 상황"이라며 "양 내정자께서 더 속도를 내셔서 반 바퀴, 한 바퀴를 앞서가는 계기를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