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금감원장 지적에 사라진 부회장직…경영승계 방식 바뀌나

"부회장직, 폐쇄적 운영으로 외부 경쟁자 차단"
하나금융, 부문 임원 도입…KB금융도 폐지 전망
금융권 "차기 회장 후보군 육성 방식 바뀔 듯"

 

하나금융그룹이 연말 인사에서 부회장 제도를 폐지했다. 함께 부회장직을 유지해 온 KB금융그룹 또한 폐지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부회장직이 경영승계 과정에서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지적이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하나금융은 지난 26일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를 통해 부회장 직제를 폐지하고 부문임원체제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유연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고 각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한 리더들을 통해 그룹의 실질적인 성과와 함께 조직의 변화를 이끌어 나갈 계획이라는 게 하나금융 측 설명이다.

 

하나금융의 부회장직 폐지로 4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 중 KB금융만 부회장 직제를 운영하게 됐다. 양종희 회장 취임 이후 허인·이동철 부회장이 동시 사임하며 공석인 채로 부회장직을 유지 중인 KB금융 또한 이달 말 있을 인사에서 부회장 직제를 폐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금융권에서는 이처럼 금융지주들이 부회장직을 없애는 것이 이복현 금감원장의 지적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원장은 "부회장제는 특정 회장이 사실상 셀프 연임하는 것보다는 훨씬 진일보된 형태"라면서도 "특정 금융지주를 말하긴 조심스럽지만, 부회장 제도가 (다른 후보를) 회장이나 행장 등 유리한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들러리로 세우는 형태로 선임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폐쇄적으로 운영하면서 외부 신인 발탁이라든가 외부 경쟁자 물색을 차단하는 부작용도 있다"고 꼬집었다.
 
나아가 이러한 부회장 직제 폐지가 경영승계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금감원이 부회장 제도를 지배구조 투명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한 만큼, 금융지주들이 새로운 회장 후보군 양성 방안을 선택할 것이라는 것. 

 

그간 금융지주 부회장 제도는 안정적인 경영 승계를 위해 차기 회장 후보군을 육성하는 일종의 관문으로 여겨졌다. 차기 회장 선발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낙하산' 리스크와 인사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과 양종희 KB금융 회장 모두 부회장을 거쳐 회장으로 선임됐다.

 

오는 2025년 3월 함 회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경영승계 이슈가 있는 하나금융의 경우, 차기 회장 후보군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전망도 대두된다. 이은형 부회장과 강성묵 부회장은 부문 임원을 맡아 기존에 맡았던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지만, 박성호 부회장은 부문 임원을 맡지 않게 됐기 때문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지주의 부회장직과 관련해 경영상 장점도 있지만 부작용도 드러난 만큼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당국의 입장"이라면서 "금융지주들이 당국의 뜻에 발맞춰 부회장 직제 폐지 수순을 밟는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