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시장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관련해 "적어도 6개월 이상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수렴할 때까지 긴축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통위원 모두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물가상승률이 목표인 2%에 수렴할 때까지 현재 수준의 통화정책을 충분히 유지하는 데 이견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에는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기준금리를 3.75%까지 열어놔야 한다고 했고 나머지 2명이 3.50%로 유지하자고 했으나 이번에는 금통위원 5명 모두 향후 3개월간 기준금리를 3.50%로 유지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장기간 지속함으로써 물가 안정을 이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총재 자신의 사견임을 전제로 “적어도 6개월 이상은 기준금리 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섣불리 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자극하면서 물가 상승률이 다시 높아질 수 있다”며 “현 상황에서는 금리 인하가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보다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를 자극하는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과 관련해서는 “태영건설 사태가 부동산이나 건설업의 큰 위기로 번져 시스템 위기가 될 가능성은 작다”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시장 불안정을 일으키면 한은이 언제든지 시장 안전판 역할을 하겠지만,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시장 전체가 흔들리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툴(도구)이 있다”며 “정도에 따라 대포를 쏠 수도, 소총으로 막을 수도 있지만, 지금은 소총도 쓸 상황이 아니라고 본다”고 비유했다.
가계부채 관리에 대해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내려가도록 관리해야 할 것은 규제 당국과 한은의 책임”이라고 했다.
또 “제 임기 이후라도 중장기적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가 비율이 90% 미만으로 떨어졌으면 좋겠다”며 “그러려면 부동산 가격이 안정되거나 하향 조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