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공사(iH)는 지난해 인천시와 ‘동인천역 일원 복합개발사업 추진에 관한 기본협약’을 맺고 올해 안에 사업시행자로 참여할 계획이다.
현재 상권이 쇠퇴하고 노후화된 동인천역 일대는 그동안 꾸준히 개발사업과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이 추진됐으나 계속해서 사업성 부족과 주민 반대에 부딪혀 장기간 표류하고 있다.
특히 해당 지역은 지난 2007년 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된 이후 2020년부터는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영개발을 추진했으나 최근 취소 절차를 밟았다.
그러나 유정복 인천시장은 민선8기 1호 역점사업인 제물포르네상스의 일환으로 동인천역 일대 부흥을 약속했다.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에서 이름만 바꿔 ‘동인천역 일원 도시개발사업’으로 진행하면서 사업시행은 LH에서 iH로 변경됐다.
결국 시를 거부할 수 없는 iH가 지난해 ‘동인천역 일원 복합개발사업 기본구상 및 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에 착수하며 골칫거리를 떠안게 된 셈이다.
사업성 부족으로 LH도 포기한 사업을 iH가 도시개발사업으로 바꿔 역세권 고밀도 복합개발을 추진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사업성이 약 7000억 원의 손실을 본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돼 사업 추진시 iH의 재정이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원도심 보상금이 필수적이며, 이미 계상된 해당사업의 추정손실액 또한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iH는 사업성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업성 개선 선행 후 공사채 발행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으로 사업성 개선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공사채 발행은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그런데 iH는 신규청사 이전을 위한 루원시티 사옥매입 및 이전 압박까지 받고 있다.
이미 기존 공사채 상환과 시에 줄 배당금, 신규사업 투입비로 재정부족을 겪는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침체까지 겹친데 더한 삼중고다.
사업성 높은 땅을 팔아 재정을 유지하고 있는 iH는 루원시티 사옥매입 및 이전 시 원도심 재생 등의 사업 축소가 동반될 것으로 보고 있다.
iH 관계자는 “LH도 포기한 동인천역 일원 복합개발 사업은 시민 삶의 질 개선과 인천의 선진화를 위한 iH의 의무지만 사업성 개선이 더 시급하다”며 “시는 불요불급한 청사 이전을 재고해 동인천·제물포·내항 재생사업에 iH가 집중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는 해당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여러 지원책을 고민중이라고 밝혔다.
또 동인천역 일원의 도로 설치 및 정비 등 일부 기반시설을 지원할 계획이며, 지난해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동인천역 북광장 주변 송현자유시장 매입 보상비 365억 원도 전액 보상금으로 사용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보상비는 아직 정확한 추계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으로 장담할 수 없어서 지원금 등의 현금 지원은 논의된 바 없다”면서도 “사업 진행에 필요한 행정절차 등 행정적 지원은 물론 재정적인 부분에서도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는 전체적으로 사업이 실행될 수 있게끔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정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