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교육혁신의 새로운 동반자, 디지털튜터
경기도교육청이 학교 현장의 디지털 교수-학습 환경 지원을 강화한다.
20일 도교육청은 '디지털튜터' 운영교를 276교에서 476교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디지털튜터'란 디지털 기반 수업을 위한 교사의 스마트기기와 소프트웨어 관리, 학생의 디지털 역량 격차 해소를 위해 학교에 강사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교육청은 하이러닝 확산과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따른 디지털 기반 환경 수요 증가에 따라 ‘디지털튜터’ 운영교를 확대한다.
또 기존 학교 단위 선발 방식에서 교육지원청 중심의 운영교 지정과 강사 선발로 개선해 학교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지원과 지역 인재 활용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도교육청은 이번 지역별 맞춤형 '디지털튜터' 확대 운영이 교육 여건에 따른 스마트기기 보급과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교육현장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도교육청 디지털인재국은 시공간을 넘어 배움을 확장하고 공정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과 교원의 서논술형 평가 역량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교육혁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학생이 만드는 배움의 장, 학생기획형 공유학교
경기도교육청이 지역자원과 연계해 학생의 지속적인 성장과 자기 주도성 신장을 지원하는 '경기공유학교 학생기획형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
'경기공유학교 학생기획형 프로그램'은 기획 워크숍을 통해 학생이 제안하는 주제를 학교 밖 다양한 자원과 연계해 단계별 학생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고 있다.
기초단계와 전문단계로 구성한 학생기획형 프로그램은 현재 도내 개인, 단체, 기관이 방과 후, 주말, 방학을 활용해 총 311기관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5558명의 학생이 참여하고 있다.
기초단계는 학생의 진로 탐색을 위해 미디어, 예술, 생태 등 주제 활동으로 242기관에서 35차시 운영한다. 전문단계는 창업·디지털 등 미래 역량 영역 또는 지역 특색을 반영한 프로젝트형 주제 활동으로 69기관에서 55차시 운영할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배우고 성장하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육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