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자외선 노출 많은 초가을 햇빛, 백반증 위험 높인다

멜라닌세포 사라져 발생…자가면역질환과 동반 사례 흔해
피부경화증 등과 증상 유사…전문 진단 필수
자외선 차단제·긴소매 옷 등 생활 속 관리 필요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초가을,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서 피부 질환 발생이 늘고 있다.

 

대표적인 질환이 바로 '백반증'이다. 백반증은 피부의 멜라닌세포가 사라져 하얀 반점이 생기는 병으로 생명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외관 문제로 인해 심리적·사회적 고통을 겪는 환자가 많다.

 

백반증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면역체계가 이상을 일으켜 멜라닌 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 질환, 원형탈모 등 다른 자가면역질환과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고 가족력이 있는 비율도 15~20%에 달한다. 과도한 자외선 노출이나 피부 외상(상처)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항산화 효소 불균형이나 칼슘 섭취 이상도 연관 요인으로 제시된다.

 

백반증은 통증이 없고 초기에는 반점이 작아 알아차리기 어려워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반점이 넓어지고 전신으로 퍼질 수 있어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특히 자외선에 노출되면 주변 피부가 그을려 백반 부위가 더 두드러져 보인다.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피부질환으로 피부경화증, 백색잔비늘증, 탈색증 등이 있다. 겉보기에 모두 피부가 하얗게 변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원인과 치료법은 다르다. 단순 증상만으로는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를 통한 정밀 진단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백반증을 완전히 치료하는 방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와 진행 억제를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있다.

 

대표적으로 약물치료는 피부 염증을 억제해 색소 회복을 돕고 주로 국소 부위에 사용된다. 멜라닌 세포 활성을 촉진하기 위해 자외선B(UVB) 광선치료가 시행되기도 하며 일부 환자에게는 정상 피부의 멜라닌 세포를 채취해 옮기는 자가 피부 이식 같은 외과적 치료가 적용된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백반증은 예방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햇볕에 민감한 부위는 일광화상이나 피부암 위험이 높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를 3~4시간마다 반복해 바르고 긴소매 옷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정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백반증은 100명 중 1~2명꼴로 발생하는 흔한 질환"이라며 "가족력이 있거나 장시간 야외 활동을 하는 사람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고 피부에 관심을 갖고 조기에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