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특례시가 도입한 ‘행정종합관찰관’ 제도가 시행 5개월 만에 5700여 건이 넘는 생활불편 민원을 해결하며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시민 참여형 QR 신고 시스템과 공무원의 현장 발굴 체계를 결합한 결과, 처리율이 97%에 달하는 등 ‘선제 대응 행정’이 정착 단계에 들어섰다는 평가다.
15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7월 전국 최초로 ‘행정종합관찰관’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이 제도는 공무원이 출·퇴근이나 출장 중 도로나 교통시설, 쓰레기, 공원, 불법광고물 등 생활 속 불편 요소를 발견하면 스마트폰 앱을 통해 즉시 신고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관찰관이 접수한 민원은 즉결 처리 가능한 사안은 즉시 조치, 부서 협의가 필요한 사안은 7일 이내 처리 원칙으로 운영된다.
시 관계자는 “민원 발생을 기다리기보다 사전에 찾아내고 해결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현장 대응 중심의 행정문화를 정착시키는 중”이라고 밝혔다.
공직자 중심의 관찰 제도와 더불어,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생활불편 도와드림 QR’ 신고 제도도 함께 운영 중이다.
시민은 QR코드를 스캔해 불편사항을 입력하면 즉시 담당 부서로 접수된다. 로그인이나 회원가입 절차 없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호응이 높다.
지난 5월 도입 이후 9월 말까지 ‘도와드림 QR’ 신고 1,800여 건,‘행정종합관찰제’ 신고 3,900여 건 등 총 5,747건의 생활불편 민원이 접수됐다.
이 중 대부분이 7일 이내에 신속히 처리되어 종합 처리률은 약 97%로 집계됐다.
공직자 중심의 ‘행정종합관찰제’가 행정 내부의 효율성을 높였다면, ‘생활불편 도와드림 QR’ 제도는 시민 누구나 QR코드 하나로 일상 속 불편사항을 손쉽게 신고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플랫폼이다.
시는 관찰관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성과 우수 공무원과 부서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은 최대 100만 원, 부서는 최대 200만 원까지 포상금을 받을 수 있으며, 우수 사례는 전 부서에 공유해 확산하고 있다.
지난 2일부터는 시민의 경우에도 QR 신고를 통해 지역공헌 마일리지 최대 500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강래향 행정종합관찰관은 ““행정종합관찰관 제도는 시민이 민원을 넣기 전에 공직자가 먼저 움직이는 ‘선제적 행정’의 상징”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하는 생활밀착형 행정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