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5분 자유발언에서 세 명의 의원이 각기 시민 삶과 직결된 현안을 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발언대에 선 의원들은 간접흡연 방지, 청년 정책, 수도권매립지 문제 등 김포시가 안고 있는 현실 과제를 구체적으로 지적하며 시정의 변화와 적극 대응을 촉구했다.
첫 번째 발언자로 나선 정영혜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시민 건강권 보호를 위해 간접흡연이 발생하지 않는 흡연 구역 조성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버스정류장과 공원, 아파트 인근 등 생활공간 곳곳에서 발생하는 간접흡연 피해를 지적하며 “흡연자의 권리도 존중되어야 하지만 비흡연자의 건강이 침해되는 현실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시가 공공장소 흡연 부스 설치를 확대하고 관리·점검 체계를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두 번째 오경현 의원(더불어민주당, 가 선거구 고촌읍, 사우동, 풍무동)은 “김포시 청년 여러분, 안녕하십니까?”라는 인사로 발언을 시작하며 최근 캄보디아 청년 고문 사망 사건은 단순히 해외 치안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청년층의 어려운 현실이 만들어 낸 구조적 비극이라고 말했다.
그는 “높은 주거비와 일자리 부족, 문화 환경의 한계를 체감하는 청년들이 김포를 떠나고 있다”라며 “청년이 머물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현실적 지원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김포시 청년(19~39세)은 약 11만 명(인구의 23%)이며, 세분화해보면 사회 초년 층·자립 전환 층·역량강화층 등 세 단계로 나뉘어 있어 결과적으로 정책은 있으나 체감되지 않고 예산은 투입되지만, 효과는 남지 않은 상태로 청년 정책의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냐며 김포시의 청년 정책 전담부서의 실질적 권한 강화와 소통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김현주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수도권 4 매립장 예정지의 85%는 김포 땅, 김포시가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수도권매립지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했다.
김 의원은 “전체 매립장 부지의 80%가 김포 땅”이라며 “김포는 수도권의 쓰레기를 떠안고 피해만 보고 있다”라고 성토했다.
더구나 그는 “환경 부담금 현실화, 주민지원 확대, 정부와의 협상력 강화를 촉구하며, 시민이 이해할 수 있는 정의로운 환경정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김포시의회 본회의장은 시민 삶의 현안을 둘러싼 다양한 목소리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의원들은 공통으로 “시민 중심의 실질적 정책 추진”을 주문하며 집행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당부했다.
[ 경기신문 = 천용남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