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9월 누적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100조 원을 넘어섰다. 코로나19 대응으로 대규모 재정이 풀렸던 2020년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큰 폭이다. 세수는 증가했지만, 연속된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과 지출 확대가 적자 폭을 키운 것으로 분석된다.
13일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11월호’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총수입은 480조 7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1조 4000억 원 증가했다.
법인세 수입은 21조 4000억 원 늘었고, 근로자 수 증가와 성과급 지급 확대, 해외주식 호황 등으로 소득세도 10조 2000억 원 증가했다. 세외수입과 기금수입도 각각 24조 7000억 원, 166조 5000억 원을 기록하며 늘었다.
반면 총지출은 544조 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통합재정수지는 63조 5000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102조 4000억 원 적자로, 2020년(108조 4000억 원)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지난해 같은 기간(91조 5000억 원 적자)보다도 약 11조 원 늘어난 셈이다.
기재부는 “9월에는 주요 세입 일정이 없고 1·2차 추경 집행이 집중된 영향이 크다”며 “연말로 갈수록 적자 폭이 다소 줄어 예산상 관리재정수지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10월 국고채는 17조 7000억 원 규모가 발행됐다. 통화정책 기조에 대한 시장의 기대 변화 등의 영향으로 국고채 금리는 전월보다 상승했다. 올해 1∼10월 누적 발행액은 205조 2000억 원으로, 연간 총 발행 한도의 88.8%에 해당한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