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동거 /김주대 눈이 너의 따스한 피부를 만진다 눈을 통해 너의 까슬까슬한 슬픔과 아득한 넓이를 감각한다 너를 본 감각들은 고스란히 몸에 쌓여 몸이 움직일 때마다 달그락거리기도 하고 출렁거리기도 한다 너를 생각한다는 것은 내가 길을 걸을 때 몸 안의 네가 소리를 내며 흔들린다는 것이다 너는 어쩔 수 없이 눈으로 들어와 갈데없이 내가 된 감각습관화된 나다 이것은 집착이 아니라 몸이 이룩한 사실이다 너는 사라질 수도 떠날 수도 없다 - 시집 <그리움의 넓이> 중에서 ‘본다’는 것은 결국 ‘전부’일 수 있다. ‘눈’은 우리에게 모든 것의 시작이다. 눈은 모습만 보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눈을 통해 감각도 느낀다. 눈을 통해 마음도 읽는다. 눈을 통해 세상의 모든 것을 바라보고, 동시에 반응을 시작한다. 눈은 순식간에 우리들의 입이 되기도 하고, 귀가 되기도 하고, 코가 되기도 하고, 피부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한 번 들어온 것은 쉽게 나가지 못한다. 특히 감동적인 것은 몸 안에서 가만히 있지를 못하고 본능적인 생명활동을 벌이기 시작한다. 종내는 화산처럼 타오르는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그
수원과 경기도의 프로야구 10구단 유치 열기가 뜨겁다. 지난 23일 수원체육관에서 열린 프로야구 10구단 수원유치를 위한 시민서포터스 창단식에서 염태영 시장은 열변을 토했다. “경기도는 인구가 1천200만명이나 되며 수원도 인구가 115만명이 되는데도, 아직 지역을 연고로 한 프로야구단이 없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소리”라며 “프로스포츠는 단순히 운동이 아니라 산업이며 비즈니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경기도는 전국의 20%에 달하는 초·중·고 야구팀이 있고, 1천600여개의 사회인 야구팀에 속한 4만여 명의 야구인들이 활동한다. 실질적인 ‘야구 메카’이다. 뿐만 아니라 수원은 수원을 비롯해 성남, 용인, 화성, 안산, 안양, 평택, 안성, 의왕 등 인근 예비 관객 수요가 600만 명 이상이 잠재되어 있다. 흥행이 목적인 프로야구단이 들어서기에 최적지로 평가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모든 고속도로와 연결되고, 철도와 전철들이 교차하는 교통의 중심지로, 서울, 인천 등과 함께 지하철 시리즈가 가능한 곳이다. 이런 수원에 10구단이 들어서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최근
새 정부가 출범하는 내년도 우리의 경제사정이 걱정이다. 정부는 통상 성장률 전망치를 다른 연구기관보다는 높게 발표해왔다. 정부는 당초 올해 성장률을 3.3%, 내년은 4.0%로 내다봤다. 그러나 27일 ‘2013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성장률은 2.1%, 내년 전망치는 3.0%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3%는 잠재성장률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 3.1%나 국제통화기금(IMF)의 3.6%, 한국은행의 예상치 3.2%보다도 낮다. 국내 민간경제연구소의 3.1∼3.4% 전망과 비교해 봐도 상당히 비관적이다. 내년 경기회복을 기대했던 서민들은 걱정이 앞선다. 고용 불안과 생활고에 대한 근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 정부가 이렇게 비관적인 전망치를 내놓은 것은 그만큼 상황이 나쁘다는 방증일 것이다. 내년 하반기 이후 경제가 점차 개선돼도 본격적인 회복세로 보기 어렵다고 한다. 대외적으로 위험 요인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그 중심에는 유럽의 재정위기가 있다. 결국 세계 경제의 회복은 지연되고 그 충격은 한국경제에 미칠 것이다. 우리가 겪어보지 못했던 혹독한 저성장 추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수출은 물론 내수까지 찬바
좋은 풍경은 한 폭의 명화이며 마음과 발의 표적이 된다. 그 표적은 광고에 의해, 혹은 무심코 지나다 만날 수도 있고, 떠도는 소문에 의해 발이 겨누는 대상이 되기도 한다. 많은 돈을 들여서 화려하게 치장하였거나 깎은 듯이 다듬어놓았다고 해서 다 좋은 풍경은 아니다. 아무리 보잘 것 없는 곳이라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느낌의 시위를 당기게 된다면 좋은 풍경인 것이다. 요즘같이 개발이 대세를 이루는 시대에 자연 그대로 남아있는 곳에서 우린 좋은 풍경을 만난다. 그곳이 갈대밭 사이사이 질펀하게 제 속을 다 내놓고 갈꽃과 바람과 바닷물의 흐름 속에 유영하고 있는 시흥갯골이다. 몇 달 동안 글쓰기수업을 한 그녀가 그림 그리는 일에 몰두하게 되어 미안하다며 저녁식사라도 함께하자고 제안한다. 저녁식사를 하기에는 이른 시간이다. 나는 “우리 바람을 쐬러 나가면 어때요?” 하고는 ‘시흥갯골생태공원’으로 달렸다. 한동안 발길이 뜸했던 곳이라 벌써부터 그곳의 초겨울 느낌을 그리워하던 참이다. 여백의미의 감동 만나는 곳 포동을 지나 갯골로 들어서 정수장에 차를 대놓고 나니 갯골은 물이 가득 들어와 노을이 들기 시작하고 있다. 고개를 돌
중국 한서(漢書)에 먼저 시작하면 남을 제압할 수 있지만 늦게 시작하면 다른 사람의 통제를 받게 된다(先發制人 後發制于人), 즉 무슨 일이든 먼저 준비하고 먼저 시작해야 우위를 차지하게 된다는 뜻으로, 선즉제인(先卽制人)이라고도 함. 사람이 남의 꾀를 미리 알아내고 일이 생기기 전에 막아내야 한다는 말이다. 기선제압(機先制壓)이란 말을 많이 쓴다. 먼저 상대방을 제압한다는 말인데, 권투에서 시작 전에 상대를 마주 세우면 몇 만V 전류를 흘리면서 상대의 눈에 쏘아대는 장면을 우리는 본다. 그것은 바로 상대를 먼저 제압해서 기선을 잡아보겠다는 것이 아닌가. 세상의 모든 일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 더군다나 요즘같이 치열한 경쟁사회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선시 되는 말이 아닌가 한다. 세계적 기업인 현대를 일으킨 정주영 전 회장은 매일 아침 3시에 집을 나섰다고 하니 밤늦게 들어와서 도대체 몇 시간이나 휴식을 취했을까. 가훈(家訓)인 한결같이 부지런하면 세상에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一勤天下無難事)라는 말이 깊은 영향이 있었겠지만 어쨌든 선발제인(先發制人)의 무서운 실천이 아니었던가 생각한다. 우리가 무엇을 못하는 것이 아니고 안 하는 것이며, 우리가 성공
창밖에는 겨울바람에 진눈깨비가 흩날리고 있었다. 눈은 쌓이고 또 쌓여 도로를 하얗게 덮었다. 겨울은 삼한사온이라고 했던가. 비록 이 눈은 며칠 안에 녹아 없어질 수도 있겠지만 눈 덮인 세상은 잠시라도 세상이 밝고 희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잠깐 왔다 금방 사라지는 눈이지만, 그리고 나 역시 지금 가고 있는 그곳에 잠깐 왔다 떠날 버릴 테지만, 그곳에 가면 잠시라도 흰 눈과 같은 말들을 주고받을 수 있을까…. 눈 덮인 거리로 나서는 날, 나는 홀로 집밖을 나섰다. 아내가 강원도 교직원 단합회를 떠나서 아내의 배웅 없이 문을 나섰기 때문이다. 왠지 모를 쓸쓸한 기분을 느끼면서 뽀드득 뽀드득 눈길을 걸었다. 잠깐 왔다 금방 사라지는 눈이지만 달리는 차의 앞 유리에 부딪히는 눈은 불편하게 마련이다. 와이퍼로 눈송이들을 걷어내고 FM음악방송을 들었다. 진눈깨비와 함께 불어오는 바람은 매우 거셌다. 차가 휘청거릴 정도였다. 왠지 모를 불길함이 밀려오자 운전대를 긴장한 채로 잡고 있었다. 내게 중앙경찰학교로 가는 길은 낯설지 않다. 나는 신임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언론대응과 전략법’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고 있다. 그곳에서 만나는 교육생들의
“하늘을 향해 나는 화살을 쏘았다. 화살은 땅에 떨어졌으나 간 곳을 몰랐다. 너무도 빨리 날아가 버려 눈으로도 그 화살을 따를 수 없었다. 하늘을 향해 나는 노래를 불렀다. 노래는 땅에 떨어졌으나 간 곳을 몰랐다. 눈이 제 아무리 예리하고 빠르다한들 날아가는 노래를 누가 볼 수 있겠는가. 오래고 오랜 세월이 흐른 후 한 떡갈나무에 부러지지 않고 박혀있는 화살을 나는 보았다. 그리고 노래도 처음부터 끝까지 한 친구의 가슴 속에 살아 있는 것을 나는 알았다” 쉽고 감성적인 언어로 사랑받는 미국의 시인 롱펠로우가 남긴 ‘화살과 노래’라는 작품이다. 한번쯤은 읊조렸을 시구(詩句)가 2012년을 하루 남기고 다시금 맴돈다. 인간은 살면서 무수한 화살을 허공에 날리고, 노래를 부르는 숙명을 타고 난듯하다. 지난 한 해를 살면서도 무수한 화살을 쏘았다. 어떤 화살은 목표물에 접근도 못했고, 어떤 화살은 아직도 날아가고 있을지 모른다. 노래는 드넓은 하늘의 끝자락에서 소멸됐으며 곡조는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시간은 화살같이 흘러 벌써 1년의 마지막을 고하고 있다. 사실 장구한 우주의 역사 속에서 2012년과 2013년을 구분 짓는 하루의 시간이 어떤 차이가 있겠는가. 인간
지난 19일 우리는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를 통해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한 사람의 대통령을 뽑았다. 새 대통령이 된 새누리당 박근혜 당선인은 ‘내’가 선택했든 안 했든 간에 5년 동안 대통령으로서 국가를 경영하게 됐다. 한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다. 이례적으로 보수와 진보 양대 진영으로 대결한 결과, 처음으로 과반 득표를 넘는 대통령이 됐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서 첫 부녀 대통령이 된 박 당선자는 청와대를 떠난 지 33년 만에 다시 들어간다. 이제 박 당선인은 국민들에게 내세웠던 공약을 꼼꼼히 챙기면서 당선 후 말한 일성처럼 ‘민생대통령’으로서 ‘국민행복시대’를 만들어야 한다. 가장 시급한 것은 패배한 문재인 후보가 ‘통합과 상생의 정치를 바란다’고 한 것과 같이 선거기간 동안 갈라진 분열을 어떻게 아우를 것인가가 큰 숙제다. ‘100% 국민대통합’을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통합과 화합의 정책을 마련하고 패자와 그 지지자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따뜻한 배려가 필요하다. 한편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패배를 인정하고 박근혜 당선인에게 축하의 인사를 건네며
새누리당 황우여(인천 연수·사진) 의원은 27일 보수논객 윤창중 수석대변인 임명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정권인수위 대변인으로서의 공과를 지켜보고 논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 단지 과거와 입장이 달라졌다고 비난하는 것은 좀 이르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 대표인 황 의원은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 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첫 번째 인사로, 여러 뜻이 함축돼 있다고 본다”면서 “이번 인사로 인해 오히려 이후 인사 때는 중도 또는 진보진영 인사에 대한 박 당선인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올해는 국회와 정부에 대한 재신임을 얻는 영광의 해였다”면서 “정치쇄신과 당 개혁, 국회선진화라는 무거운 중책이 놓여 있는데 책임정당정치를 확립해 헌정질서를 바로잡는데 모두 함께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해진 경기신용보증재단 이사장 ▲이재영 〃 경영지원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