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소비자 행동 및 식습관을 연구한 코넬대학교 식품 브랜드 연구소 소장 브라이언 완싱크 교수는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많이 먹게 되는 원인을 밝히고, 보다 적게 먹을 수 있는 새로운 다이어트 환경을 제시한다. 바로 ‘슬림 디자인’이다. 브라이언 완싱크 박사는 의지력에 기대는 다이어트는 너무 힘들고 한계가 있으며, 그보다는 자신 주변의 ‘먹는 환경’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다이어트 방법이 훨씬 쉽고 확실한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의지력’ 하나만으로는 90% 이상의 사람이 가지고 있는 나쁜 식습관을 바꿀 수 없다고 밝힌 저자는 행동 경제학과 심리학에서 검증된, 간단하면서도 혁신적인 솔루션, ‘슬림 디자인’이 우리를 날씬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강조한다. 따라서 ‘슬림 디자인’은 사람들이 주로 먹는 다섯 장소 즉, ‘집, 식당, 슈퍼마켓, 직장, 학교’에서 우리가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먼저 집에서 하는 슬림 디자인은 부엌 개선하기, 식탁 바꾸기, 간식 방지(snack-proofing)의 3개 파트로 나눌…
2016년 인공지능 알파고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해서 인간 바둑 챔피언을 이기는 것을 지켜보고, 상상 이상으로 똑똑해진 인공지능이 모든 일을 사람 대신 하게 될지 모른다고 생각하게 되면서 전 세계가 술렁였다. 또한 이미 수백만 킬로미터를 사고 없이 달린 자율운행차가 사람을 대신하는 등 적어도 20년 안에 지금의 직업 가운데 절반 정도가 사라진다는 보고서와 뉴스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로봇 시대 미래 직업 이야기’는 인공지능과 로봇의 시대를 살아갈 그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질문을 18개 선정하고 이에 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책이다. 책은 컴퓨터와 인공지능이 어떻게 다른지, 인공지능은 어떻게 스스로 공부하는지를 친절히 설명할 뿐 아니라 미래에도 학원에 다니며 영어나 수학 공부를 해야만 하는지, 미래의 게임은 어떤 모습으로 변하게 될 지 등 청소년 독자들이 궁금해 할 요소들을 곳곳에 배치했다. 또한 미래에는 어떤 직업이 사라지거나 외면 받게 될지, 우리 사회는 지금보다 더 경쟁이 치열하고 불평등한 곳이 되지는 않을지 좀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면서 인공지능이 대신하기 어려운 일은 무엇이고 미래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UN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는 평균 수명이 80세를 넘는 국가가 31개국으로 급증할 전망했고 이를 ‘호모 헌드레드(homo-hundred)의 시대’로 정의했다. 바야흐로 100세 시대가 열린 가운데 우리는 어떻게 하면 100세까지 품위 있게, 즐겁게 살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100세까지 잘 살다가 잘 죽을 수 있을까를 고민할 때다. 일본 사회언어학자이자 일본 문화에 정통한 임영철은 ‘웰컴, 헌드레드’를 펴내 한국보다 먼저 고령화를 겪은 일본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대한민국의 현실을 진단하고, 100세 시대를 잘 살기 위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조언한다. 책에는 결혼이란 계약을 현명하게 유지하는 법, ‘하류노인’이 되지 않는 법, 노후의 외로움을 덜어 줄 친구라는 연금에 가입하는 법, 젊음에 대한 강박을 내려놓는 법, 고독력을 키우는 법, 치매 없이 건강하게 하는 법 등 노년의 삶을 예습하고 그것을 느긋하게 탐험할 수 있는 현실적인 조언들이 담겨 있다. 뿐만 아니라 재택임종, 연명치료 등으로 자연스럽고 인간다운 죽음을 맞이할 권리 등 최근 웰다잉의 핫이슈로 떠오른 주제들을 다룬다
경기문화재단 지원 공연장 상주단체 양주·안양·연천 등 6곳서 공연 예정 남한산성 뮤지컬 ‘달을 태우다’ 등 다채 광명오페라단의 모차르트 ‘돈 죠반니’ 과천 어린이 환경연극 ‘쓰레기꽃’ 등 신작공연도 줄줄이 무대 올라 경기문화재단이 지원하는 도내 공연장 상주단체의 10월 공연 양주·안양·연천·군포·구리·안산 등 여섯 곳에서 펼쳐진다. 먼저 오는 13일과 14일에는 남한산성 뮤지컬 ‘달을태우다’가 남한산성아트홀에서 열린다. 액운을 쫓기 위한 달집태우기를 모티브로 한 공연은 병자호란 당시 인조를 남한산성으로 업어서 피신시킨 천민 서흔남의 사랑과 우정을 그린다. 양주문화예술회관에서는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놀이극 ‘별난 가족 이야기’가 펼쳐진다. 베트남과 이스라엘 등 해외 초청 공연과 국내 인형극, 마술쇼 등 10개 프로그램이 이어지며 특히 베트남 수중 인형극 ‘츄테우의 고향’과 이스라엘 마임 초청극 ‘여왕과 숲속 동물들
경기도문화의전당 국악당은 팟캐스트 교양강좌 ‘공감.각(共感.覺)’을 5회에 걸쳐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지난달 25일 첫 선을 보인 ‘공감.각(共感.覺)’은 전통문화예술의 근본과 특이성을 환기시키고, 국악의 인식을 전환하고자 구성된 교양 강좌로, 유튜브 채널, 팟빵, 네이버 오디오 클립 등 트랜디한 채널을 활용해 도민들과 만나는 서비스다. 강좌는 ‘우리는 소리를 어떻게 만들었을까?’를 시작으로 ‘좋은 음식, 나쁜 음식 VS 맛있는 음식, 맛없는 음악’, ‘밤새 듣던 할머니의 옛날 이야기, 뮤지컬이 되다!!’, ‘세상 모든 음악 최고의 재료, 민요를 만나다.’, ‘빛나는 전통이 될 K-pop, 내일도 살아 숨 쉴 아리랑’ 등 5회에 걸쳐 이어지며 작곡자이자 현재 국악방송 ‘꿈꾸는 아리랑’에서 활약하고 있는 함현상이 진행을 맡았다. 게스트로는 청주 중앙국악원장이자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이수자인 조동언, 한국 고전 및 근현대 대중가요 전문가인 이준희, 그리고 경기도립국악단 민요팀 하지아 단원이
백건우의 베토벤 전곡시리즈를 만날 수 있는 ‘올 베토벤’ 공연이 오는 14일 오후 4시 수원SK아트리움에서 열린다. 예순 한 살이었던 2007년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32곡) 마라톤 리사이틀을 완수했던 피아니스트 백건우는 2017년 베토벤 전곡으로 무대에 올라 그때의 감동을 다시한번 전한다. 백건우의 베토벤 소나타 전곡 연주회는 지난 3월 김해에서 첫 공연을 시작해 오는 14일 수원SK아트리움에서 그 마지막을 장식할 예정이다. 이날 연주회에서 백건우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7번 d단조 작품31-2 ‘Tempest(템페스트)’를 비롯해 30번 E장조 작품109, 10번 G장조 작품14-2, 23번 f단조 작품57 ‘Appassionata(열정)’을 연주, 베토벤의 초기, 중기, 후기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수원SK아트리움 관계자는 “클래식계의 거장인 백건우를 수원SK아트리움에 모실 수 있게 돼 영광이다. 수원SK아트리움에서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함께하는 베토벤 전곡 시리즈의 마지막을 함께하는 기쁨과 영광을 누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예매는 수원SK아트리움 홈페이지(www.suwonskartrium.or.kr)와 인터파크 티켓(1544-155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은 도내 각 지역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여성가족 정책토론회’를 용인, 의왕 등 4개 지역에서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찾아가는 정책토론회는 도내 지역들의 여성가족정책 현안 및 수요 파악과 연구원의 정책추진 지원을 위해 기획된 것으로, 지난 7월 과천시를 시작으로 화성, 부천, 수원, 안양, 파주 등 경기 남북부 도시에서 열렸으며, 10월에는 용인, 의왕 등 4개 지역에서 개최한다. 지역 여성친화도시 조성방안, 여성폭력, 경력단절여성 및 이주여성 일자리, 보육 및 교육, 아동·청소년 친화환경 조성 등 지역 현안에 초점을 둔 다양한 주제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주제 선정 및 개발과 토론회 준비과정에 담당공무원과 시도 의원, 지역기반 단체 및 전문가들이 참여해 지역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주목을 끈다. 한옥자 연구원장은 “찾아가는 정책토론회는 정책현장에 좀 더 다가가자는 취지에 따라 준비한 만큼 ‘발로 뛰는’ 토론회를 지향하고 있다”면서“10월 말 토론회가 종료되는 대로 사후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연계 등 후속조치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민경화기자 mkh@
마담보봐리의 ‘소시지 그라인더(Sausage Grinder)-오롯의 집’과 백은하의 ‘기억의 활용(상상과 실재)’전시가 오는 13일부터 26일까지 수원 대안공간눈에서 열린다. 마담보봐리는 조은주, 음현정, 최혜정, 김이옥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오롯의 집’을 주제로 한 전시를 준비했다. 40대 후반인 네 명의 작가는 정치, 사회적이거나 형이상학적 담론보다는 삶의 속살에 가까운 자신을 둘러싼 관계와 환경, 개인의 역사에 관심을 갖는다. 이번 전시는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 소시지를 만드는 소시지그라인더에서 착안해 ‘오롯의 집’을 주제로 집에서 비롯되는 여러 상반된 감정에 주목해 이야기를 풀어낸다. 백은하 작가는 ‘기억의 활용’을 주제로한 다양한 작품들을 소개한다. 백 작가는 수많은 기억의 일부분이자 상상력이 더해진 그림을 통해 기억의 풍경을 묘사, 꿈을 통한 작은 일탈을 캔버스에 담아냈다. 한편 대안공간 눈 윈도우 갤러리에서는 문세희 작가의 ‘물속에서 나를 보다’ 전시가 오는 13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이어진다. 문 작가는 물속에서 바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 수원시청소년상담센터는 오는 15일 오후 1시 온누리아트홀에서 청음뮤직페스티벌 본선 행사를 진행한다. 청음뮤직페스티벌은 청소년기획단이 페스티벌의 기획과 운영 전반에 함께 참여해 청소년, 멘토, 지도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음악축제이다. 이번 페스티벌은 평소 음악을 즐기고 사랑하는 경기도 청소년들이 한자리에모여 자신들의 음악적 끼를 마음껏 발산하고, 청소년들의 각양각색의 개성있는 음악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이 될 예정이다. 이날 페스티벌에서는 예선을 통해 선발된 보컬·댄스·밴드·랩 팀들의 공연이 펼쳐진다.(문의: 031-236-1318) /민경화기자 mkh@
숨쉬는한의원 평택점은 28일 오후 3시30분부터 5시까지 평택노인서부복지관 3층 교육실에서 복지관 회원을 대상으로 ‘중풍바로알기’ 강의와 한방전문 상담을 진행했다. 강의와 상담을 진행한 숨쉬는한의원 평택점 박영준 원장은 “기회를 준 평택노인복지관 관계자들께 감사드리며 지역 어르신들과 직접 만나고 강의를 통해 어르신들의 궁급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드릴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혜원 복지사는 “여러 강의가 있었지만 한방강의는 처음이라 많은 분이 지원해 주셨는데 조기에 인원이 마감돼 안타까웠다”며 “강의 후 만족도도 높아 숨쉬는한의원평택점 원장님께 감사드리고 다시 한번 강의 요청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평택서부노인복지관은 다양한 지역 어르신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정민수기자 jms@